OTTER LETTER

진실을 알 권리

"제가 큰 개인적 위험을 무릅쓰고 이 자리에 나온 것은 우리에게는 아직 행동할 시간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지금 당장 해야 합니다. 국민이 선출한 여러분께서 행동하시길 부탁드립니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변곡점

프랜시스 하우겐은 단순히 문건을 폭로한 게 아니라,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대한 논의 방향을 바꿨고, 대립하던 두 당의 의원들이 협력하게 만들었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내부고발자

휘슬블로어(whistleblower)라는 말은 소비자 보호 운동의 선구자 랠프 네이더가 1970년대에 만들어냈다. 밀고자(snitch)라는 사회적 낙인을 없애기 위해서였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샌드라 오

"왜 나는 사람들이 내게 주연을 맡길 거라고 생각하지 않았던 걸까?"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머스크의 작명법

이 글은 일론 머스크와 그의 전 여친 그라임스 사이에 태어난 아들의 이름, X Æ A-12에 관한 내용이 아니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페이스북 파일 6. Too Young, But..

페이스북은 여섯 살 짜리 아이들도 고객으로 만들려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방법을 찾는 것이 자신들의 임무(responsibility)라고 믿는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페이스북 파일 5. Out of Control

'Break the glass'는 평상시에는 사용할 수 없고 화재나 구급 상황에서만 쓸 수 있는 긴급수단을 의미한다. 그런데 여기에서 중요한 건 평상시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뉴욕의 비상계단 이야기

지금은 영화나 드라마에서 뉴욕을 상징하는 낭만적인 풍경의 일부가 되었지만, 이 계단들은 슬픈 역사를 가지고 있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쓰레기 치우는 날

백악관은 국민들로 부터 욕을 먹을 만한 내용을 발표해야 하면 기다렸다가 금요일 오후에 발표하곤 했고, 그래서 금요일이 '나쁜 소식 금요일' '쓰레기 치우는 날'이라 불리게 되었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페이스북 파일 4. 인신매매 네트워크

국제 무기상이 인종간 갈등이 고조된 지역에 위험한 무기를 팔고 "나는 그들의 국내 문제에 책임이 없다"고 말할 수 있을까?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9월 21일

2016년, 무명의 코미디언이 별 생각 없이 자신의 아파트에서 영상 하나를 만들어 인터넷에 올렸다. 그런데 일이 커졌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페이스북 파일 3. 분노유발 알고리듬

페이스북은 2018년에 알고리듬에 큰 변화를 주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를 '분노유발 알고리듬(Outrage Algorithm)'이라 부른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페이스북 파일 2. 인스타그램

인스타그램은 담배회사일까, 자동차회사일까?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페이스북 파일 1. VIP 리스트

"거짓말을 하려면 한 번만 해서는 안된다. 끊임없이 해서 사람들이 네가 하는 거짓말을 소음으로 생각하고 아예 관심을 끄게 만들어야 한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가짜뉴스 잡는 법

9월 초에 한겨레로부터 연락을 받았다. 언론중재법 개정과 관련해서 미국의 언론학자 한 사람과 인터뷰를 해달라는 부탁이었다. 약간 고민을 했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