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고향 생각 외에는 다른 어떤 것에도 집중하지 못한다."
메타버스가 등장하는 SF들은 왜 예외 없이 모두 디스토피아를 그리고 있을까? 아무도 이 질문해보지 않고 그걸 고스란히 구현하기로 한 거다.
"지옥이 뭔지 아세요? 메타버스에서 만나는 사람들이 지옥이에요."
인류는 이미 현실을 공유하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현실 인식에 필요한 하부구조, 즉 세상을 이해하는 방법에 조차 동의하지 못하고 있다.
지적인 트럼프주의(Intellectual Trumpism)는 가능할까?
2016년의 미국을 대표하는 책이었던 '힐빌리의 노래'는 2017년이 되자 갑자기 인기가 식었다. 저자는 그 이유를 알고 있다고 한다.
발명은 새로운 물건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발명가는 그 물건 '용도'도 함께 만들어내야 한다.
뉴욕주 이타카의 어느 추운 겨울날, 칼 세이건은 텅 빈 캠퍼스에서 한 고등학생을 만나 그의 인생을 바꿔놓는다.
기술 문명의 엄청난 발전 속도는 사회도 그렇게 빨리 발전하고 있다는 착시현상을 만들어낸다.
우리는 그동안 학습했던 것을 모두 잊고 똑같은 실수를 고스란히 반복하고 있다.
사진 속 단 한 사람만이 그 경례를 하지 않고 있었다. 아니, 그냥 경례하지 않은 게 아니라 아예 팔짱을 끼고 적극적인 거부 의사를 밝히고 있었다.
뉴욕에 사는 사람들은 지하철에서 어떤 책을 읽을까?
"죽어가는 별도 한동안 빛을 발한다."
궁극적으로 지리적 경계에 기반한 개별 국가의 정부가 지금 수준의 통제권을 계속 유지할 거라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을까?
트럼프가 유권자의 생각을 대변했을 뿐이라는 주장과 그가 대중의 생각을 통제한 진정한 독재였다는 주장 중에서 어느 쪽이 더 소름끼치는 일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