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TER LETTER

메르켈은 옳았다

세계인들이 앙겔라 메르켈을 좋아할 때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이 뉴욕타임즈 오피니언 칼럼이 그 이유를 잘 설명해주었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FedEx < Amazon

아마존의 물류시장 장악은 시간문제다. 하지만 그건 미국의 물류시장일 뿐이다. 진짜 싸움은 이제 시작이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Space is hard" ②

인구의 5분의 1이 빈곤선 아래에 있는 나라에서 천문학적인 예산이 들어가는 달착륙 계획을 시작하려면 어떻게 국민을 설득해야 할까?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Space is hard" ①

우주개발과 관련해서 가장 많은 실패를 한 나라는 미국과 러시아다. 이런 실패를 할 때마다 등장하는 말이 "우주는 어렵다(Space is hard)"는 말이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꼬리 자르기

기업들은 항상 고객을 최우선으로 생각한다고 말하지만, 자본주의 기업은 구조적으로 그렇게 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Cold War II

"지금 우리는 중국과 냉전에 들어간 걸까?" 많은 미국인이 이 질문을 하고 있다. 중국은 1950년대 소련의 플레이북을 따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Fall Guy

부시와 매파에게 파월이 평생 쌓아온 신뢰는 딱 한번 잘 쓰고 버릴 수 있는 소모품이었다. 이라크 전쟁이 그 결과물이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불편한 농담

코미디언은 강자를 조롱하면 된다는 룰은 필연적으로 어느 쪽이 강자이냐는 논쟁을 낳게 된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빌런의 얼굴

과학적 근거가 없지만 사람들은 외모가 내적 자아를 반영한다고 믿는다. 등장인물의 얼굴에 큰 흉터가 있으면 '저 사람이 악당'이라고 생각한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어디서 온 알라딘?

'알라딘과 요술램프'를 책으로 읽어본 사람은 많지 않다. 그래서 알라딘이 중국인이라는 걸 모르는 사람이 많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시그널

세상에 해야 할 일을 하는 것만으로도 처벌과 살해 위협을 감수해야 하는 직업은 많지 않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연어

해외로 입양된 한국 아이들이 자라서 한국을 방문하는 이유는 생부, 생모를 찾기 위해서만이 아니라고 한다. 무엇이 그들을 끌어들일까?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억만장자들의 거리

기업의 이윤이 개입된 구조적인 안전 문제는 충격적인 대형사고가 나면 해결된다. 이건 서울도, 뉴욕도 다르지 않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진실을 알 권리

"제가 큰 개인적 위험을 무릅쓰고 이 자리에 나온 것은 우리에게는 아직 행동할 시간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지금 당장 해야 합니다. 국민이 선출한 여러분께서 행동하시길 부탁드립니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변곡점

프랜시스 하우겐은 단순히 문건을 폭로한 게 아니라,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대한 논의 방향을 바꿨고, 대립하던 두 당의 의원들이 협력하게 만들었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