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카로운 분석과 거친 입으로 유명한 뉴욕대학교의 스캇 갤로웨이는 종종 마크 저커버그와 도널드 트럼프의 공통점을 이렇게 말한다. "이 두 사람은 '거짓말을 하려면 한 번만 하지 말고 끊임없이 해서 사람들이 너의 거짓말을 소음으로 생각해서 아예 관심을 끄게 만들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실행하는 사람들이다." 빌 클린턴이나 리처드 닉슨처럼 한 번 거짓말을 한 대통령은 그 거짓말을 철저하게 추궁당하고 대가를 치르게 되지만, 트럼프처럼 입만 열면 거짓말을 사람에 대해서는 대중이 그냥 귀를 닫고 신경을 쓰지 않게 된다는 얘기다.
투자자들을 속인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 테라노스의 엘리자베스 홈즈는 "스타트업이 개발 중인 제품, 서비스의 성과를 약간 부풀리는 건 실리콘밸리에서 흔한 일"이라며 자신의 행동을 방어했었다.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니고, 그래도 실리콘밸리는 적당히 굴러간다. 문제는 그런 "가벼운" 거짓말이 하나의 문화가 되면 엘리자베스 홈즈 사람들이 나오게 된다는 데 있다. 애플이 무선 충전패드(AirPower)의 기술적 가능성을 확인하기도 전에 "곧 나온다"고 홍보했다가 만들지 못하겠다고 선언하는 것과 역시 증명도 안 된 기술로 피 한 방울을 사용해 250가지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고 거짓말을 해서 거액의 투자를 받아 챙기는 건 다른 차원의 일이다. 전자는 기업의 망신으로 끝나지만, 후자는 투자자들의 큰 손해로 이어진다.
실리콘밸리의 기업들이 마치 기술로 인류를 꿈과 환상의 세계로 인도할 것처럼 아름다운 청사진을 보여주는 것이 관객이 알고도 속아주는 3-D 영화라면, 페이스북 같은 플랫폼이 자신들의 정책과 이윤 추구의 결과로 민주주의가 무너지고, 청소년의 자살이 증가하는 등의 실질적인 피해가 발생한다는 비판을 받으면서도 정책을 바꾸지 않고 끊임없는 거짓말로 둘러대는 건 인류와 사회에 대한 공격이다. 문제는 기업들이 이런 정보를 '사업 기밀'이라는 핑계로 공개하지 않는다는 것과 사람들이 저커버그의 거짓말에 무뎌지고 있다는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