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로 '내부고발자'라고 번역하는 '휘슬블로어(whistleblower)'라는 말은 흔히 생각하는 것보다 꽤 늦게 영어에 등장했다. 미국 소비자 보호 운동의 대명사인 랠프 네이더가 1970년대에 만들어냈다고 한다. (네이더는 2000년 미국 대선에 출마해서 돌풍을 일으키며 진보 유권자들을 끌어들이는 바람에 공화당의 조지 W. 부시를 당선시켰다는 비난을 듣기도 했다. 하지만 네이더는 이미 1970년대부터 대선에 꾸준히 출마했기 때문에 그냥 민주당이 인기가 없어 패배한 거라고 보는 게 맞다).

네이더가 휘슬블로어라는 말을 굳이 만들어낸 것은 그 당시에 이들을 부르던 'snitch'나 'informer' 같은 표현이 가진 부정적인 의미를 극복하기 위함이었다. 그가 하던 소비자 보호 운동의 입장에서는 아주 훌륭한 전략이었다. 힘이 세진 기업들이 소비자 모르게 하는 행동을 감시, 고발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사정을 잘 아는 직원과 같은 내부자들의 제보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그런 행동을 하는 사람을 '밀고자'나 '배신자' 같은 사회적 낙인을 찍는 분위기에서는 이런 정보를 외부에 알릴 사람을 찾기 쉽지 않다. 따라서 그들이 사회를 위해 옳은 일을 하는 사람이라는 이미지를 부여할 필요가 있었다. 네이더의 전략은 성공했고, 사회는 새로운 영웅들의 탄생을 종종 목격하게 되었다.

1977년, 랠프 네이더는 에어백 의무화를 반대하는 의원들과 싸우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