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서 나는 내가 가진 사각지대를 인정해야 한다. 나는 비록 독일의 밀레니얼들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지만 동독에서 태어난 밀레니얼들은 세상을 다르게 볼지 모른다. 내가 아래에 기술할 서독인들의 경험–안정, 그리고 우리의 체제가 완성되었다는 깊은 확신–과 달리, 내 세대의 동독인들은 해체(disintegration)의 과정에 있는 세상에 태어났다. 독일 민주공화국(동독의 공식 명칭–옮긴이)은 1990년에 해체되었고, 그 결과 동독의 경제는 그 구조가 완전히 개편되었고 새로운 화폐가 도입되었다. 동독은 경제 위기에 빠졌고, 많은 기업들이 문을 닫고 실업률이 치솟았다. 수십 년 동안 (동독을) 지배하던 정당–그리고 이데올로기–이 사라졌다.

베를린 장벽이 붕괴될 때 십 대였던 어떤 이의 글

독일이 이런 과정을 지나는 동안 성장기를 보냈다면 그 자체로 얻게 되는 교훈은–비록 내가 그 증거는 되지 못하더라도–분명히 있었다. 그런 이유로, 비록 나의 경험과 그 경험에서 도출된 교훈이 서방세계와 다른 유럽 사람들에게도 어느 정도는 일반화될 수는 있다고 생각하기는 해도, 그 경험과 교훈이 가장 잘 설명해주는 건 유럽을 좋아하고 교육을 받은 중산층 서독인들일 거다. 이게 내가 속한 세대 전체를 대표한다고 말할 수는 없어도 현재 정치계의 지도급으로 성장하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의 많은 사람들을 설명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