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TER LETTER

창업자의 노동, 직원의 노동

창의력 떨어지는 여의도의 정치인들이 주 52시간제를 내놓을 때까지 그렇게 창의적인 기업들은 직원들의 삶을 위해 뭘하고 있었나?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저커버스(Zuckerverse)

테크기업의 CEO가 특정 버즈워드가 인류의 미래라고 이야기할 때는 약간의 의구심을 가지고 들을 필요가 있다. 특히 그것이 그 기업의 이익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때 그렇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WKND | 원형감옥 아마존

제프 베이조스는 사람은 천성적으로 게으르다는 인간관을 갖고 있다고 한다. 그가 만든 아마존의 물류 시스템은 그런 사람들을 알고리듬을 통해 일하게 만드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츄기(cheugy)?

거의 10년 전 LA의 한 고등학교에서 몇몇 학생들이 사용하던 단어가 올해 들어 갑자기 유행하기 시작했다. 알고 보니 Z세대가 밀레니얼과 자신들을 구분하려는 거였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백신 접종을 주저하는 사람들

"음모론이 아닌 다른 이유로 백신을 거부하는 사람들이 있을 수 있다"는 내 지인의 말은 얼마나 사실일까?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12명의 슈퍼 전파자

페이스북에 백신 관련 허위정보가 넘쳐난다는 건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이 플랫폼에 돌아다니는 백신 허위정보의 73%를 열두 명의 슈퍼전파자가 만들어냈다는 사실은 놀랍다. 페이스북은 왜 몰랐을까?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WKND | Soft-spoken

프로 스포츠계에서 오사카 나오미는 분명 특이한 존재다. 그런 오사카의 내면을 보여주기 위해 개럿 브래들리를 감독으로 고른 넷플릭스의 안목을 보면 왜 넷플릭스가 성공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디디추싱 제재와 중국 정부의 게임플랜

디디추싱의 뉴욕 상장 이후에 초강력 규제에 들어간 중국 정부는 어떤 게임플랜을 가지고 있는 걸까? 몇 가지 힌트를 찾을 수 있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Z세대와 이메일

Z세대는 이메일에 일대 혁명을 일으킨 구글의 G메일이 등장한 2004년에 유치원에 처음 입학했다. 이들은 이메일이 온라인 소통을 점령한 세상에서 자란 첫 세대인 셈이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괜찮지 않아도 괜찮아"

오사카 나오미 선수가 다시 입을 열었다. BLM 운동을 앞장서서 지지한 용기있는 선수로 유명하지만, 이번에는 어쩌면 더 큰 용기가 필요한 발언이었다. 모두 읽었으면 하는 마음에 전문을 번역했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WKND | 영국과 미국의 R 발음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사람들이 하는 흔한 착각 중 하나가 ‘영어는 영국에서 시작된 언어이니 영국인들의 발음이 정통 발음이고 미국식 영어는 지역의 사투리’라는 생각이다. 사실은 그렇지 않다. R 발음이 대표적인 예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델타 변이와 화이자 백신의 수수께끼

시간이 지나면서 화이자 백신의 효능이 떨어진다는 이스라엘의 발표가 나오자 화이자는 내심 반기고 있다. 이 모습을 본 의료계가 분노한 이유.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중국 정부는 왜 잔칫상을 엎었을까?

중국 정부가 빅테크를 다루는 모습을 보면 신기할 만큼 미국과 대비가 된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AOC의 브랜딩 전략

AOC는 미국 정치인들 사이에서 보기 드문 브랜딩을 하는 정치인이다. 하지만 AOC가 사용하는 시각 문법과 그의 진보정치가 잘 맞는 건 우연한 결과물이 아니라 치밀한 기획의 산물이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WKND | 지난 주 눈길을 끈 이미지들

지난 한 주 동안 인터넷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여섯 개의 이미지와 거기에 담긴 이야기들.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