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 5월은 넷플릭스에게는 위기의 시간이었다. 가입자가 11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는 소식에 이어 주가가 폭락했고, 뒤이어 150명의 직원을 감축한다는 소식이 나왔다. 게다가 상황이 당장 나아질 것으로 보이지도 않는다. 가장 많은 가입자가 있는 미국에서는 수십 년 만에 최악의 인플레이션이 닥쳐서 많은 사람들이 지출을 줄일 곳을 찾고 있다. 여러 개의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SVOD)에 가입했던 가정들에서는 이제 '우리가 정말로 이 서비스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까?' 하는 고민을 하게 되는 시점이 되었다. 넷플릭스가 첫 가입자 감소를 발표하면서 2분기에도 2백만 명의 가입자를 잃을 것으로 예측한 이유이기도 하다.
이런 시점이면 기업은 PR에 신경을 쓰게 된다. 단순히 페이드 미디어(paid media)를 통한 광고, 홍보가 아니라, 언드 미디어(earned media)를 통해 자신에게 유리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작업이다. (Paid media, earned media, owned media라는 건 마케팅에서 사용하는 개념으로, 이에 대한 쉬운 설명은 여기에서 읽어볼 수 있다.) 가장 인기 있는 방법 중 하나는 평소 바쁘다는 이유로 좀처럼 인터뷰에 나서지 않는 기업의 핵심 인물이 유명한 매체의 기자와 오랜 시간(최소 며칠에서 길게는 몇 주 동안 자주 만나거나 심지어 동행하기도 한다) 대화를 나누며 프로필 기사를 쓸 기회를 준다. 따라서 유명 기업 대표의 프로필 기사가 나왔다는 건 그가 해명을 해야 할 일이 생겼거나, 현재 기업에 불리하게 진행되는 미디어의 내러티브를 바꿀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따라서 지난달 말, 넷플릭스의 공동 CEO인 테드 사란도스가 뉴욕타임즈의 인기 칼럼니스트 모린 다우드(Maureen Dowd)에게 자신의 프로필 기사를 작성할 수 있도록 기회를 허락한 것은 그런 맥락에서 이해해야 한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뉴욕타임즈가 홍보 기사를 써줬다는 얘기는 아니다. 사란도스의 말을 써주지만 그의 주장에 최종적인 평가를 내리는 건 기자의 몫이다. 게다가 기자는 이 기회에 궁금했던 모든 질문을 던질 수 있고, 대답을 회피할 경우 회피했다는 사실을 기록함으로써 독자들에게 맥락을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