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개전 사유'와 협상의 쟁점
사소한 부분이지만, 이해영 교수는 글에서 '침공'이라는 말보다는 '개전'이라는 표현을 선호한다. 물론 전쟁의 시작이라는 시간적인 의미에서 '개전(開戰)'을 사용하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러시아의 침공을 전 세계인이 실시간으로 봤음에도 침공이라는 단어가 들어가야 할 자리에 '개전 사유'(=침공한 이유) 같은 중립적인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눈길을 끄는 이유는 그가 우크라이나어인 '키이우' 대신 '키에프'를, '하르키우' 대신 '하르코프'를 굳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한 달 동안 한국의 미디어를 전혀 접하지 않았다면 모를까, 국립국어원까지 "키이우가 적합하다"라고 권하고 모든 매체가 키이우, 하르키우로 통일한 상황에서 굳이 러시아어 표기를 고집하는 건 왜일까?
실수에 불과할 수 있는 외래어 표기와 단어 사용을 굳이 지적하는 건 이해영 교수의 두 번째 주제인 전쟁의 이유와 평화협상의 쟁점에 대한 논의가 전적으로 러시아의 시각에서 전개되기 때문이다. 그는 양측의 협상을 중재하는 터키의 레제프 타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의 언급했다는 쟁점 6개(우크라이나 중립화, 우크라이나 비무장과 안전보장, 탈나치화, 우크라이나 내 러시아어 사용 보장, 돈바스 2개 공화국 지위, 크림반도 지위)를 소개하면서 그중 다섯 개 반이 러시아가 "개전 사유"로 나열한 것이며, "역사상 그 언제 그 어디서도 패전한 나라가 의제를 결정하진 않는다"라는 말로 다시 한 번 러시아의 승리를 강조한다.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