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를 향한 도전

마틴 스위팅(Martin Sweeting)경은 영국의 엔지니어로, 인공위성을 디자인하고 제작하는 서리 위성 테크놀로지(Surrey Satellite Technology)를 설립한 사람이다. 2001년 어느 날 한 직원이 그에게 "화성에 온실을 만들고 싶어 하는 사람이 있다"라며 한번 만나보지 않겠느냐고 권했다. 그 사람은 일론 머스크였다. 스위팅과 머스크는 콜로라도주에서 열린 한 우주 컨퍼런스에서 만나 아침식사를 함께 하며 이야기를 나눴다. 그 자리에서 머스크는 NASA를 비판하며 민간 우주 선단을 만드는 것에 관해 이야기했다.

스위팅이 기억하는 머스크는 그 일에 무섭게 집중하고 있었다. (훗날 스위팅의 회사는 머스크로부터 투자를 받으면서 그를 이사로 선임했다. 서리 테크놀로지는 2009년에 에어버스사가 인수했다.) 스위팅에 따르면 당시 머스크는 작은 인공위성들을 해발 수백 마일의 "저궤도(low-Earth orbit)"에 올려놓는 새로운 연구 분야에도 관심을 갖고 있었다고 한다. 두 사람의 초기 협력은 나중에 스타링크의 기반이 되는 기술이 탄생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면, 인공위성은 대부분 스쿨버스 크기였고, 높은 궤도–이를 지구 동기 궤도(geosynchronous orbit)이라 부른다–에 떠 있었다. 반면, 작은 위성은 그보다 낮은 궤도를 돌 수 있기 때문에 지상에 있는 단말기와 연결되어 외딴 지역에도 고속 인터넷을 쏘아줄 수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많은 수의 위성이 필요하다. 한 위성이 스타링크 터미널 상공에서 멀어지면 다른 위성이 인터넷 신호를 이어받고, 그 뒤를 이어 다른 위성이 이어받는 작업이 끊김이 없이 이어져야 지상에 있는 사람들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타링크가 작동하는 개념도. 저궤도 위성들은 레이저 빔을 사용해 서로 연결되고, 지상에 있는 단말기("Dishy")는 가장 가까운 거리의 위성을 끊임없이 스캔한다. (이미지 출처: The New York Times)

일론 머스크가 첫 스타링크 위성을 쏘아 올린 것이 2019년의 일이다. 당시만 해도 인공위성 인터넷은 허황된 꿈처럼 여겨졌다. 이미 1990년대와 2000년대에 다른 기업들이 저궤도 위성을 이용한 통신을 계획했지만 성공하지 못한 이유는 위성을 궤도에 보내는 비용과 기술적 난제들 때문이었다.

하지만 머스크에게는 이점이 있었다. 스페이스X의 로켓은 임무을 마친 후 지구로 귀환하기 때문에 일부 재사용이 가능하다. 덕분에 머스크는 위성들을 끊임없이–때에 따라서는 수십 개씩–쏘아 올리는 특급 열차를 손에 넣고 통제하게 된 셈이다.

매년 발사되는 인공위성의 숫자. 노란 부분이 스타링크의 위성이다. (이미지 출처: The New York Times)

지금은 스타링크의 위성들을 실은 스페이스X 로켓이 거의 매주 캘리포니아주나 플로리다주에서 발사된다. 각 위성은 약 3.5년의 수명을 갖게 설계되어 있다. 궤도를 돌고 있는 스타링크 위성들이 너무 많아서 사람들이 별똥별로 착각하는 일이 흔하다. 천문학자들은 이 위성들이 연구용 천체망원경을 가로막는 사례를 기록하고 있고, 다른 위성들과의 충돌을 경고한다. 미시건 대학교에서 위성 궤도 속 잔해를 연구하는 천문학자 패트릭 사이처(Patrick Seitzer)는 "밤하늘은 자연이 우리에게 주는 가장 아름다운 쇼인데, 인간이 이를 영원히 바꿔놓고 있다"라고 경고한다.

스타링크가 제공하는 인터넷의 다운로드 속도는 대략 100 메가비트(Mb)로, 지상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인터넷 속도 수준이다. 스페이스X는 개인 고객에게는 단말기를 600달러에 제공하고, 한 달 사용료로 75달러를 받는다. 기업이나 정부 고객은 그보다 더 많은 돈을 내야 한다. 스페이스X는 각 단말기의 위치와 고도, 이동 경로를 알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이 말이다.

별을 관측하는 사진(장노출). 스타링크 인공위성들이 지나간 흔적이 화면을 뒤덮고 있다. (이미지 출처: The New York Times

스타링크 인터넷 서비스가 시작된 것은 2021년이다. 처음에는 몇 개 국가에만 제공되었지만, 지금은 50여 개 국가와 영토에서 사용 중이다. 여기에는 미국과 일본, 유럽의 대부분, 그리고 일부 남미 국가들이 포함된다. 인터넷 보급이 뒤처진 아프리카에서는 나이지리아와 모잠비크, 르완다에서 스타링크에 접속할 수 있다. 스타링크 웹사이트에 따르면 2024년 말까지 10여 개의 아프리카 국가들이 추가로 스타링크를 사용하게 된다. 머스크는 2020년, 조 로건(Joe Rogan)의 팟캐스트에 출연해서 "지구상에 있는 모두가 고속 광대역의 인터넷을 사용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군과 통신사, 항공사, 크루즈, 그리고 해운 회사들이 스타링크의 서비스를 원하고 있고, 현재 150만 이상의 가입자를 갖고 있다.

이 분야에서도 경쟁이 증가하고 있지만 경쟁자들은 고전 중이다. 영국 기업인 원웹(OneWeb)의 경우 극심한 자금난으로 영국 정부로부터 구제금융을 받았고, 다른 투자자들에게 팔렸다. 아마존의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가 소유한 블루 오리진(Blue Origin)은 스타링크에 대항하는 카이퍼 프로젝트(Project Kuiper)를 계획하고 있지만, 아직 한 개의 인공위성도 올려보내지 못했다.

전쟁터의 생명줄

스타링크의 위력–그리고 머스크의 영향력–을 가장 확실하게 보여준 것은 우크라이나 전쟁이다. 현재 우크라이나의 군과 병원, 기업체, 그리고 구호 기관들이 42,000개 이상의 스타링크 단말기를 사용 중이다. 지난해 러시아군이 대대적인 폭격으로 우크라이나의 인터넷망을 파괴했을 때 우크라이나의 공공기관들은 스타링크에 의존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었다. “스타링크가 없으면 우리는 비행기도 띄울 수 없고 통신도 불가능하다." 보안을 이유로 자신을 주브(Zub, 이빨)이라는 가명으로 소개한 우크라이나의 한 지휘관의 말이다.

스타링크 인터넷이 우크라이나에 들어간 것은 2022년 2월이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고, (나중에 러시아의 소행으로 밝혀진) 사이버 공격으로 우크라이나군이 이용하던 비아샛(Viasat) 고속 위성통신이 마비되자 우크라이나의 디지털 장관은 일론 머스크에게 온라인에서 공개적으로 도움을 요청했다.  

이를 본 머스크는 몇 시간 만에 페도로프 장관에게 연락해서 스타링크가 우크라이나 상공에서 작동을 개시했다고 알렸다. 며칠 후 스타링크의 단말기들이 우크라이나에 도착했다.

우크라이나에 도착한 스타링크 지상 단말기 (이미지 출처: WIRED)
2022년 2월 개전 직후와 2023년 7월의 우크라이나 인터넷 속도 비교. 스타링크를 이용한 인터넷의 속도가 빨라진 것을 보여주는 그래픽. 위성 파라미터의 변화, 인공위성과 지상 단말기의 숫자 증가 등으로 우크라이나의 인터넷 상황이 개선되었다. (이미지 출처: The New York Times)

스타링크의 기술은 우크라이나의 숲과 들판, 마을, 그리고 군 차량 위에 설치되어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와 싸우는 데 아주 큰 이점을 제공해 왔다. 포병부대, 사령부, 조종사들은 드론이 보내오는 실시간 영상을 보면서 채팅을 하고 있다. 그 결과, 목표물을 확인한 후 타격까지 걸리는 시간이 20분에서 1분으로 단축되었다.

"스타링크가 구한 생명만 수천 명이 될 겁니다. 스타링크 기술은 우크라이나가 전쟁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아주 중요한 요소죠." 페도로프 장관의 말이다.

크레미나 지역에서 스타링크 단말기를 설치하고 있는 우크라이나 병사 (이미지 출처: The New York Times)

하지만 위성 통신 기술에 대한 머스크 한 사람의 영향력이 점점 커지자, 우크라이나와 서방 국가의 관료들 사이에 우려도 커졌다. 그러다가 지난해 가을 머스크가 이번 전쟁과 관련한 언급을 여러 차례 하면서 문제의 심각성이 커졌다. 그가 우크라이나에서 스타링크 서비스를 계속 제공할지에 대해 의구심이 생기게 된 것.

머스크는 9월, 콜로라도주 애스펜에서 열린 국제 문제 및 비즈니스와 관련한 이벤트에 참석했다. 그 행사에는 당시 하원의장이었던 낸시 펠로시를 비롯한 주요 인사들도 참석했는데, 그 자리에서 머스크는 자신의 평화 계획(peace plan)을 제안했다. 그의 계획은 러시아가 이미 점령한 우크라이나의 영토를 계속 갖는 조건으로 평화 협상을 하자는 것이었고, 그 얘기를 들은 많은 참석자가 분노했다.

그리고 그즈음, 우크라이나가 사용하는 스타링크 서비스의 비용을 누가 내느냐는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했다. 전쟁 초기에는 스페이스X가 비용의 일부를 내주고 있었고, 미국과 우방국들도 일부를 담당하고 있었다. 그런데 같은 달, 스페이스X는 더 이상 비용을 감당하지 않겠다며 미 국방부가 비용을 모두 부담하라고 통보했다. CNN과 뉴욕타임즈가 확인한 내용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12개월 사용에 4억 달러(약 5,200억 원)을 내야 한다고 했다.


'머스크의 저궤도 제국 ③'에서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