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제를 가진 민주주의 국가에서 대통령의 당선된 사람은 이전 대통령이라는 테제(these, 定)의 반테제(antithese, 反)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2012년 대선에서 호남과 수도권을 제외하고 모두 패했던 문재인의 2017년 당선은 박근혜 정부의 실패에 기인하고, 정치 경력이 지극히 짧았던 버락 오바마는 미국인들이 8년 동안의 조지 W. 부시와 네오콘에 지치지 않았다면 그렇게 혜성처럼 등장해서 당선되기 힘들었을 거다. 하지만 아무리 신임 대통령이 전임의 반테제라고 해도 일단 당선된 후에는 다르다. 그때부터는 전임 대통령과 상관없이 자신만의 어젠다를 추구하는 진정한 하나의 테제가 된다. 여기에 예외가 하나 있다. 조 바이든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라는 '현상'을 극복하는 반테제로 대통령에 당선되었지만 임기가 2년이 되어가도록 여전히 트럼프의 반테제로 작동한다. 아니, 그의 임기 4년은 모두 트럼프 현상의 확산을 막고 이를 극복하는 데 들어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를 잘 보여준 것이 지난 1일에 그가 필라델피아에서 했던 연설이다. 미국의 독립기념관에 해당하는 독립역사공원(Independence National Historical Park)에서 바이든의 연설에는 "국가의 영혼을 위해 계속되는 전투(The Continued Battle for the Soul of the Nation)"라는 거창하다 못해 비장한 제목이 붙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