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미국에서는 코로나 19와 관련한 비관적인 소식이 전해졌다. 바이든 행정부가 그동안 추진하던 "독립기념일(7월 4일)까지 미국 성인의 70%가 최소한 한 번의 백신주사를 맞게 하겠다"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 같다는 것이다. 그동안 접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었고, 백신의 확산에 힘입어 감염율도 뚝뚝 떨어지던 분위기가 식기 시작한 것은 몇 주 전부터였다. 남부를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 백신 접종을 거부하는 사람들이 뚜렷하게 나타났고, 1차 접종을 한 후에 2차 접종에 나타나지 않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5월 초만 해도 하루 2백 만 접종이 이뤄지던 것이 이제는 1백 만으로 떨어지고 있다.

물론 바이든은 '7월 4일, 성인 70%'이라는 목표는 쉬운 목표가 아니라고 했고, 그보다 늦게라도 도달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미국에서 이 목표 도달 실패에 긴장하는 이유는 백신 접종의 모멘텀이 사라지면 집단면역에 도달하기 힘들어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델타 변이(Delta varient)가 단 몇 주 후면 미국에서 가장 흔한 코로나바이러스 변종이 될 것이 확실시되면서 미국의 감염병 관리 최고 책임자인 앤서니 파우치 박사는 오늘 "델타 변이가 미국이 코로나 19를 없애는 길을 막고 있는 가장 큰 위협"이라고 경고했다.

그런데 파우치 박사가 오늘 했던 말에서 빠진 표현이 있다. 바로 '집단면역(herd immunity)'이다. 작년만 해도 파우치 박사는 집단면역을 궁극적인 목표로 제시하곤 했지만, 근래 들어 이 단어는 인기를 빠르게 잃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제 집단면역에 대한 집착을 버릴 때가 되었다"는 말까지 한다. 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