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넷플릭스에서 영화 한 편을 끝까지 못 본다. 바빠서 짬을 내지 못하는 게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영화를 열심히 보던 시절에 내가 바쁘지 않아서 그렇게 많이 보고, 시리즈를 마라톤 할 수 있었을까. 그보다는 영화에 대한 나의 관심이 떨어진 것 같다는 생각을 한다. 왜냐하면 보다가 깜빡 조는 일이 잦아졌고, 아까운 영화를 졸면서 보기 싫어서 나중에 볼 생각으로 멈추다 보니 2시간 좀 넘는 영화를 나도 보르게 40분씩 나눠보고 있었다.

요즘 넷플릭스가 예전 같지 않다는 말도 있다. 여전히 좋은 작품들은 많은데 워낙 좋은 콘텐츠가 넘쳐나기 때문에 넷플릭스의 콘텐츠가 뻔해 보이는 건지, 아니면 정말로 넷플릭스의 영화들이 시시해진 건지는 주관적인 판단의 영역이다. 하지만 나는 나이와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좀 더 정확하게는 경험한 콘텐츠의 총량이 참을성을 줄어들게 만든다. 가령 '해리포터' 시리즈는 성인 중에서도 좋아하는 사람이 많지만 10대 초반의 아이들이 주요 독자층이다. 내가 '해리포터'의 책이나 영화를 보기 힘들어하는 이유는 그 작품에 등장하는 플롯과 인물, 대화에 감동할 나이가 아니기 때문이다. 언젠가, 어디선가는 한 번쯤 본 것들이다. 그래서 성인들이 청소년용 작품을 보지 않는 것이다. 그렇게 익숙한 플롯이나 뻔한 대사가 가득한 영화를 보는 뇌는 자극을 받지 못하고 지루함을 느끼게 된다는 게 나의 변명이자, 가설이다.

그런 나의 가설을 증명해준 것이 HBO가 내놓은 '메어 오브 이스트타운Mare of Easttown'이다. 이 시리즈가 재미있다는 얘기를 여기저기에서 듣고 딱 1편만 보기로 했는데, 나는 그날 해야 할 일을 모두 미루고 7시간 넘는 마라톤을 했다. 나는 내가 마지막으로 시리즈 마라톤을 한 게 언제인지 기억도 나지 않는다. 이제는 시리즈 마라톤을 할 체력도, 정성도 없다고 생각했는데, 이 시리즈를 끝내고 깨달은 건, 단지 내가 가진 '좋은 영화'에 대한 기준이 높아졌을 뿐이라는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