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범죄를 설명하는 이론 중에 '깨진 유리창 이론(Broken Windows Theory)'이라는 게 있다. 범죄학자인 제임스 윌슨(James Q. Wilson)과 조지 켈링(George L. Kelling)이 1982년에 애틀란틱에 기고한 글, '깨진 유리창: 경찰과 동네의 안전'(Broken Windows: The police and neighborhood safety)을 통해 알려진 이론으로, 우리에게도 낯설지 않은 개념이다. 제목이 암시하는 바에 따르면, 동네에 깨진 유리창을 하나 방치하면 그 일대를 중심으로 범죄가 늘어난다는 것이다. 어느 집에 깨진 창문이 고쳐지지 않으면 사람이 살지 않고, 아무도 신경 쓰지 않는다고 생각해서 그 집의 다른 창문도 부수기 시작하고, 그런 기물 파손은 다른, 더 심각한 범죄를 부른다는 것이다.
저자인 윌슨과 켈링은 글 초반에 그 주장의 근거로 어느 사회심리학자가 1969년에 발표한 한 실험을 소개한다. 이 실험에서 심리학자는 번호판이 없는 중고차 한 대를 뉴욕의 브롱스와 캘리포니아 팔로 알토 두 곳에 각각 놔두고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지켜봤다. 브롱스는 흔히 범죄가 자주 일어나는 "험악한 동네"의 상징이었고 ('두 학교 이야기 ① 브롱스') 스탠퍼드 대학교가 있는 팔로 알토는 그때나 지금이나 "살기 좋은 동네"였다.

이 글은 유료 회원에게만 공개됩니다.
테크와 사회, 문화를 보는 새로운 시각을 찾아냅니다.
이전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