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통령들의 핵무기 통제에 관한 태도 변화를 요약하면, 트루먼은 핵무기 사용을 직접 관리하려 했고, 그의 뒤를 이은 아이젠하워는 다시 군에 관리를 넘겨주었고, 그다음에 등장한 케네디는 다시 대통령이 직접 고삐를 잡으려 한 것이다. 케네디 정권을 지나면서 대통령의 핵무기 직접 통제는 강화되어, 관련된 법까지 만들어졌다. 이런 변화에 사람들이 특별히 반대하지 않았던 것은 당시만 해도 검증되고 선출된 대통령이면 신뢰할 수 있다는 공감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런 믿음을 흔드는 대통령이 등장한다. 바로 리처드 닉슨이다. 그는 1968년에 당선되었고, 1972년 50개 주 중 49개를 가져오며 압승하며 재선에 성공했지만, 그해 6월에 불거진 민주당 전국 위원회 본부 불법 침입 및 도청 사건(워터게이트 스캔들)으로 두 번째 임기를 마치지 못하고 사임했다. 미국 역사상 초유의 일이었고, 대통령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무너지는 사건이었다.
임기 말에 닉슨은 두 명의 의원과 만나 이야기하면서, 자신에게 맡겨진 임무가 얼마나 큰데 이런 "약간의 절도 사건(little burglary)"을 이렇게 문제삼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자기가 원하면 지금 당장 옆방으로 가서 전화만 한 통하면 20분 후에 6,000만 명을 죽일 수 있다고 했다. 이런 닉슨을 불안하게 생각할 수 밖에 없던 이유는 워터게이트 사건에 대한 수사망이 점점 좁혀들면서 닉슨은 큰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고, 이를 달래기 위해 술을 많이 마셨기 때문이다.
이 글은 유료 회원에게만 공개됩니다.
테크와 사회, 문화를 보는 새로운 시각을 찾아냅니다.
다음글
이전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