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의 글에서 말한 이유로 러시아 정부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알고 싶다면 라스푸틴의 코스프레를 하는 사람(두긴)보다는 전직 외무부 장관의 말을 들어보는 게 좋다. '프리마코프 독트린'은 서구의 전문가마다 다르게 해석하는 부분도 있지만 몇 가지 주요 원칙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르지 않다.
프리마코프 독트린의 첫 번째 원칙은 러시아는 미국의 힘과 영향력을 반드시 약화시켜야 하며, 미국이 지배하는 단극(unipolar) 세계를 용납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두 번째 원칙은 러시아가 옛 소련이 남긴 공간에서 우위를 점해야 하고, 이 지역의 통합을 주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말은 당연히 발트해 국가들이나 우크라이나처럼 한 때 소련의 일부였던 나라들은 서구의 영향권 안에 들어가서는 안 된다는 얘기다. 그리고 러시아가 과거 바르샤바 조약에 포함되었던 나라들에 대한 통제권을 확장할 수 있다면 더 좋다.
이 글은 유료 회원에게만 공개됩니다.
테크와 사회, 문화를 보는 새로운 시각을 찾아냅니다.
전략적 패배 ④ 출구를 없앤 푸틴
2022년 1월만 해도 러시아는 상황이 좋았다. 젤렌스키는 인기가 없었고, NATO는 수명을 다한 듯 했다. 푸틴은 이 모든 상황을 바꿔 놓았다.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다음글
전략적 패배 ② 잃어버린 유산
다른 나라와 그 지도자를 분석할 때 저지르기 쉬운 큰 실수 중 하나가 그들도 우리와 똑같은 생각을 하고 똑같은 것에 가치를 두고 있을 거라 짐작하는 것이다.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이전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