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에 파묻혀 살던 남편은 30살이 되자 지쳤고, 일에 흥미를 잃었다. 번아웃(탈진)이 온 거다. 하지만 나는 그에게 새로운 활력을 줄 수 있었다. 나는 레스토랑에서 내가 좋아하는 노래가 나오면 춤을 췄고, 식료품점에 가는 걸 하나의 모험처럼 만들었다. 야심차고 성공에 굶주렸던 남편은 자기의 흥미를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지적 능력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자기가 일하는 시간을 중심으로 스케줄을 유연하게 맞춰 줄 배우자가 필요했다. 내가 그걸 할 수 있는 사람이었다.

나는 혼자 있을 때 책을 읽었고, 그를 위해 일정을 비워두고 있다가 도움을 요청할 때 그의 앞에 나타났다. 그 대가로 나는 월급은 좋았지만 지루했던 사무직을 떠났다. 나는 풀타임으로 글을 쓰는 작가가 되었지만, 그렇다고 글쟁이들처럼 가난하게 살 필요가 없었다. 나는 요리를 배워서 좀 할 줄 알게 되었고, 어설펐지만 집도 좀 꾸밀 줄 알게 되었다. 나는 런던 중심부와 마이애미를 다니며 맛있는 식당에 들렀고, 책을 읽었다. 필요하면 돈을 받지 않고도 열심히 일했다. 글도 썼지만, 거기에 들어간 시간과 번 돈을 생각해 보면 최저임금에 한참 미치지 못했다.  

스무 살 시절, 나는 내가 꿈꾸는 이상적인 사람이 되는 어려운 일을 하면서 그 작업을 파트너와 함께 할 수 있는 방법이 머리에 그려지지 않았다. 두 개의 미완성의 형체 없는 찰흙 덩어리가 만나서 서로를 빚으려고 하다가 결국 서로를 망칠 게 분명했다. 나는 내 또래의 남자들과 데이트를 하곤 했지만, 그 남자들이 내게 이야기하는 자신의 모습은 지금은 존재하지 않지만 언젠가는 도달할 모습이었고, 나는 거기에 내 인생을 베팅해야 했다. 그게 내가 그들과 사귀면서 받은 인상이었다.

(이미지 출처: Harvard Library)

내 남편은 달랐다. 내가 만났을 때 그는 형태가 완성된 존재였고, 그랬기 때문에 나와 맞을 수 있을지 분석이 가능했다. 그에게서는 그를 거쳐 간 다른 여성들의 손길이 느껴졌다. 그 여성들은 내 남편을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들어 놓고 떠났다. 컵 받침 사용하기, 상대가 말할 때 귀를 기울이기, 충고를 늘어놓지 않기처럼 작지만 중요한 기초 매너들이 그랬다. 그렇게 젊은 시절의 강한 자존심은 인내와 자비로움으로 바뀌어 있었다.

내 남편은 나의 파트너가 아니다. 그는 나의 멘토이고, 나의 연인이며—제한적인 맥락에서만—나의 친구다. 남편이 우리가 처음으로 함께 살게 될 아파트를 소개하던 순간을 영원히 잊지 못할 것이다. 그는 마치 나에게 나 자신을 소개하는 것처럼 소개했다. "이게 당신이 마실 와인이고, 여기가 당신 옷을 넣을 곳이야. 우리는 여기에서 휴가를 보내고, 앞으로 이 언어를 자주 사용하게 될 테니 배우게 될 거야." 나는 그가 배우라는 외국어를 배웠다. 성인이 된다는 것은 싫어도 해야 할 일이 많다는 의미처럼 보였지만, 그는 해야 할 모든 일을 깔끔하고 부드럽게 처리하는 바람에 나는 그저 남편을 따라서 움직이기만 하면 되었다. 나는 그의 아파트에 들어갔고, 그가 가진 풍요로움 속에 나를 넣기만 하면 되었다. 청소하는 사람이 일주일에 세 번 왔고, 내야 할 공과금들은 자동 납부로 처리되었다.

20대에 '파트너 관계'를 포기하면서 나는 삶의 일부분에서만큼은 이기적으로 행동하기로 했다. 내 친구들은 하지 못했던 그 결정으로 나는 해방감을 느꼈다. 나는 아직 완성형이 아니었고, 사람들은 염려했지만, 나는 내 삶을 지배했다. 스물한 살이 되어 첫 직장을 찾을 때 나는 지금의 남편과 함께 내 직장을 검토했다. 그는 내게 현명한 충고를 해줬고, 기업들과 인터뷰를 주선해 주었다. 하루는 오후 내내 함께 깔깔대며 내가 가진 장단점의 리스트를 작성했다. (나는 사회성이 뛰어나다는 장점과 계산이 약하다는 단점을 갖고 있었다.)

(Image by Stable Image Core)

그러는 동안 자기 또래의 남자 친구를 가진 친구에게서 전화를 받았다. 두 사람은 야심 찬 커플일 뿐 아니라, 서로의 일과 삶에 깊이 관여하는 가까운 사이였다. 각자가 스타트업이라면 상대방은 자기 스타트업의 첫 직원인 셈이었고, 서로에게 집중하는 모습은 놀라울 정도였다. 하지만 그 친구와 전화 통화를 끝낸 후에 내가 받은 인상은 그 두 사람이 한 번에 너무 많은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각자가 자신의 보스를 기쁘게 하는 법을 배우고 있었고, 자기 가족과 성숙한 관계를 맺는 법을 익히고 있었다. 동시에 공과금을 제때 내고, 세금을 내고, 벽에 그림을 거는 법도 익혀야 했다. 하지만 두 사람은 상대방에게 충고할 수 있는 처지도 아니었고, 안정감도 줄 수 없었다.

그 커플은 이인삼각 경기를 하고 있었다. 두 사람은 서로에게 묶여 절뚝거리며 인생의 중요한 순간을 통과하는 중이었다. 그게 내가 받은 인상이었다.

하지만 나는 바보가 아니고, 내 결혼이 단점을 갖고 있음을 알고 있다. 남편이 데려다준 곳의 멋진 풍경, 남편이 사준 저녁 식사에 "고맙다"는 말을 하는 것도 계속되면 신경이 쓰이기 시작한다. 나는 남편이 집세를 내는 아파트에 살고 있다. 그 사실은 내가 남편에게 화를 낼 수 있는 자유를 제한하게 될 것이다. 남편이 그런 말을 하지 않아도 그 사실은 그냥 공기 중에 존재한다. 그러니 "당신 요즘에 내게 신경을 쓰지 않는 것 같아(You aren’t being supportive lately)"라는 말처럼 부부 사이에 쉽게 할 수 있는 말을 하는 것도 내게는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프랑스인들은 영어로 "Make a decision(결정을 내려)"라는 말을 "Take a decision(결정을 취해, 결정을 가져와)"라고 잘못 말할 때가 있는데, 나는 남편이 그런 말을 하면 "누구에게서(From whom)?"라고 농담을 하곤 한다. 풍경이 아름다운 나라를 방문하거나, 멋진 파티에 참석하면 나는 내가 얼마나 먼 길을 왔는지 생각하며, 내가 운 좋은 구름(a lucky cloud)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내 자신이 그런 구름처럼 수증기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들면 두려워진다.

(이미지 출처: Wandering Carol)

내가 가장 걱정하는 건 남편이 나를 배신하고, 그 결과 나 홀로 세상을 살아야 하는 상황이다. 물론 나는 스스로 생존할 수 있겠지만, 나는 내가 하는 농담에서 내 취향에서, 내가 커피를 만들고, 침대를 정돈하는 방법에서 나는 남편의 흔적을 느끼게 될 거다. 전부 내 남편이 가르쳐주거나, 바꿔주거나, 고쳐준 것들이다. 마치 르네상스 화가들이 그림 속 군중 사이에 자기 얼굴을 넣은 것처럼, 남편은 내 삶의 곳곳에 자신의 흔적을 남겨두었다. 나는 그 화가들이 자기 그림 속에서 제일 먼저 자기 얼굴을 확인했을지 궁금하다.

하지만 우리의 목표가 행복이라면, 그건 틀린 질문이다. 내가 생각할 것으로 기대되는 또 다른 질문, "관계에서 누가 주도권을 쥐고 있는가? 자동차를 운전하는 남자인가, 아니면 운전하라고 남자를 운전석에 앉힌 후에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여자인가?"도 다르지 않다. 내가 타고 있는 자동차, 내가 속한 그림(painting)은 나 혼자 그렸다면 회사에서 20년은 일했어야 들어갈 수 있었을 거다. 그러니 누가 주도권을 쥐고 있느냐는 걱정은 마치 지평선만큼이나 멀리 있다. 그와 내가 함께 만든 지평선은 그렇게 넓다.  


여자로 산다는 건, 여러 의미에서 시간과의 경주를 의미한다. 아무것도 남지 않을 때까지, 지쳐 쓰러질 때까지 달리고 달려야 한다.

아무리 피하려고 애써도 결국 직시해야 하는 것들이 있다. 우리는 여성의 파워가 남성의 파워와 다른 모양을 한 세상에 산다. 여성과 남성의 이점은 다르게 분포되어 있다. 여성의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이점이 줄어들고, 남성은 늘어난다. 20세의 여성은 별다른 일을 하지 않아도 환영을 받지만, 20세의 남성은 문전박대를 당한다. 하지만 30세의 여성은 자기보다 젊은 여성—30세의 남성이 초대한 여성—에게 자리를 뺏긴다.

나는 화장실에서 우연히 대화를 엿들은 남편의 동기 여성들을 생각하곤 한다. 나와 남편의 관계는 그런 (남녀 사이에 존재하는) 불평등을 분명하게 보여줬다. 내가 나이 많은 남자와 결혼한 것은 결국 그런 불평등한 구도를 인정한 게 아니고 무엇이겠나? 나는 그런 불리함이 내게 닥치기 전에 먼저 행동함으로써 그걸 역으로 이용한 것뿐이다.

원칙을 지키는 여성이라면 그런 불공정한 상황에 반대거나 그걸 부정해야 하지, 나처럼 그걸 우회하면 안 될 거다. 그런 여성들은 직업적으로 성공적이고, 아름답고, 능력이 있다. 나는? 그들이 이미 잃어버린 하나를 아직 갖고 있었을 뿐이다. 그렇다면 나는 문제에 직면하기 전에 먼저 행동함으로써 그 여성들을 밀쳐낸 것일까? 내가 그렇게 하지 않았으면 세상이 달라졌을까?

남성과 동등해지고 싶었던 여성들은 남성들의 시간표를 따라야 했다. 그들이 일할 때 우리도 일했고, 그들이 은퇴할 때 우리도 은퇴했다. 그리고 첫 취직과 은퇴 사이에 임신과 출산, 육아, 폐경기를 모두 욱여넣어야 했다. 20대 후반에 있는 친구 하나는 무드 링(mood ring)을 낀다. 그 친구가 내게 자기가 겪는 어려움을 이야기할 때면 친구 손가락의 무드 링은 마치 경고등처럼 빨간색으로 변한다. 그 친구도 많은 또래의 남자 친구들을 키웠다. 그러면서 또래 남자들 사이에서 열심히 일했다. 그리고 마침내 그런 노력의 대가를 얻기 시작했다. 삶을 즐길 수 있을 만한 수입이 생기게 된 것이다.

그런데 그렇게 자유와 기쁨을 만끽하려는 바로 그 순간, 다른 어려움이 찾아온다. 35세 이전에 아이를 낳고 싶다면, "엄마"라는 새로운 일을 시작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일은 지금 하고 있는 일을 방해할 것이 분명하다. 내 친구와 동갑인 파트너는 친구와 마찬가지로 자기 커리어에서 열심히 일하지 않으면 안 되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아이가 태어난다면 최소한의 시간만을 낼 수 있을 것이고, 그걸로 안되면 돈을 내고 도우미를 구해야 한다. 그건 결국 내 친구에게도 부담이 된다. 모든 게 불공평한 것이다.

(이미지 출처: NPR)

난자를 냉동 보관해서 시간을 벌 수도 있겠지만, 그런 결정과 과정은 오로지 여성의 몫이다. 그런다고 해서 성공이 보장된 것도 아니다. 여성이 커리어에서 자신을 증명해야 하는 시기와 여성의 가임기는 비참할 정도로 완벽하게 일치한다.

여성은 중년이 되면 보이지 않는 존재가 되고 그 가치가 저평가된다. 뻔한 스토리이지만, 그 모든 일을 겪고 나서 남편은 더 젊은 여자를 찾아 떠난다. 도대체 여성의 시간은 언제일까? 여성은 언제 비로소 여유와 자유를 얻을 수 있을까? 페미니즘은 여성에 일할 권리를 주었을지 모르지만, 여성에게 쉴 여유를 주지 못했다. 1950년대 여성이 겪었던 문제가 극심한 불안감이었다면, 오늘날 여성들의 문제는 너무나 열심히 움직여야 하고, 모든 일에 능해야 하고, 그러면서도 휴식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데 있다. 나는 모든 것을 가지려는 우리들의 노력이 결국 실패한다는 말이 아니라, 여성이 상상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를 하려는 거다.

내 경우에는 나이 차이가 나는 남편과의 관계가 내가 전력으로 질주해야 하는 부담을 덜어주었고, 내가 나만의 시간표에 따라, 내게 유리하게 시간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었다. 우리는 곧 아이들을 가지기로 했다. 나는 즐길 시간이 사라지고 있다는 패닉에 빠지지 않는다. 결혼 후 마음껏 즐길 시간이 있었기 때문이다. 나보다 10년 먼저 일을 시작한 배우자 덕분에 넉넉한 휴가를 내가 아직 젊고 아름다울 때 아름다운 곳에서 보낼 수 있었다. 나는 이런 균형을 추천한다.

'아이 엄마의 에너지'라는 게 존재한다면, 나는 그걸 고갈하지 않았다. 남편은 나를 지난 7년 가까이—내가 그를 지원한 것보다 더 많이—지원해 주었다. 지금의 나는 우리가 처음 만났을 때 남편의 나이보다 더 젊다. 게다가 우리가 아이를 갖게 되면 지금의 남편은 그때보다 나를 더 많이 도와줄 수 있을 거다. 그동안 일하면서 쌓은 경력 때문에 그만큼의 시간적 여유를 얻을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시간적 여유가 없다고 해도, 최소한 도우미를 구할 만한 금전적 여유가 생겼다. 내가 아이를 낳고 기른 후 일로 복귀한다면, 남편은 항상 그랬듯 만사 제치고 나를 도와줄 것이다. 젊은 남자는 그럴 여유가 거의 없다.

내 결혼 생활이 주는 가장 큰 선물은 유연성(flexibility)이다. 그건 내가 다른 사람—연인, 아이—의 삶에 책임을 지기에 앞서 내 인생을 살 수 있는 기회를 의미한다. 글을 쓸 기회, 남성들의 시간표와 루틴에 여성이 자신을 억지로 끼워 넣지 않아도 되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 작가 베티 프리(Betty Friedan)이 1963년에 발표한 페미니즘의 고전, '여성의 신비(The Feminine Mystique, 여성성의 신화)'에서 꿈꿨던, 그러나 우리가 잊고 살았던 그 유동성(fluidity)은 "해마다 달라질 수 있는, 즉 한 커뮤니티에서 풀타임으로 일하고, 다른 커뮤니티에서 파트타임으로 일하며, 진지한 자원봉사에서 전문적인 기술을 사용하거나, 임신 중에 공부를 할 수 있고, 풀타임으로 일할 수 없을 경우 아이를 일찍 낳을 수 있는" 커리어나 라이프 스타일이다.

베티 프리던의 책 'The Feminine Mystique' (이미지 출처: The First Edition Rare Books)

우리가 사는 현재의 구조에서는 불가능한 것들이 있다. 우리는 우리가 해온 것이 결국 여성이 개인적으로 실패했다고 느끼게 만들었다는 사실을 언제부턴가 인정하지 않고 있다. 나는 새로운 구조를 꿈꾼다. 여성이 30대에 신입으로 일을 시작할 수 있는 세상, 다양한 승진 루트가 존재하는 세상, 승진의 사다리에 발코니가 있어서 잠시 멈춰 숨을 고르고 담배를 한 대 피우고, 아이를 낳고, 즐긴 후에 다시 오를 수 있는 그런 세상 말이다.

남자들도 그런 세상을 원할지 모른다. 아니, 나는 그들도 그걸 원한다고 확신한다.

우리가 처음 사랑에 빠졌을 때 함께 긴 자동차 여행을 한 적이 있다. 나는 남편의 다리 위에 내 머리를 놓았고, 남편은 손으로 내 얼굴을 만졌다. 차로 들어오는 햇살과 구불구불한 산길은 우리의 로맨스처럼 놀랍기도, 놀랍지 않기도 했다. 그는 내가 너무 젊은 게 가장 아쉽다고 했다. 내가 떠날 것을 염려하고 있었다. 지난주, 우리는 오래된 사진을 보면서 우리가 서로에게 최고의 시기를 선물했다는 사실에 동의했다.

진정한 평등은 그렇게 보이지 않을 때가 있다. 때로는 서로 차례를 양보해야 하기도 하고, 10년이 지나야 비로소 그 모습을 드러내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