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8일, 요르단에 주둔한 미군 기지를 친이란 무장세력이 드론으로 공격해서 미군 3명이 사망하고 30명 이상이 부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런데 이 일이 일어나기 3일 전 뉴욕타임즈의 외교·안보 전문기자인 데이비드 생어(David E. Sanger)는 한 매체와의 긴 인터뷰에 나와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우려스러운 일로 이란이 지원하는 중동의 무장 단체의 공격으로 미군이 사망하는 상황을 얘기했다. 생어 기자가—그리고 미국 정부가 —그 상황을 우려한 이유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중동의 다른 지역으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미국이 개입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그의 우려가 곧바로 현실화한 거다.
2022년 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 2023년 말에 시작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은 전혀 해결의 기미를 보이지 않은 채 2024년이 되었고, 이 두 전쟁은 세계 정세를 빠르게 바꿔놓는 중이다. 이런 정세 변화에서 감초 역할을 하는 나라가 자신을 '저항의 축'이라 부르면서 미국 중심의 세계 질서에 도전하는 이란이다. (이 '축'에는 현재 전쟁 중인 러시아와 대만 침공을 노리는 중국도 포함된다.) 지금 중동에서 벌어지는 일을 이란의 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빠르게 변하는 국제 정세가 훨씬 더 쉽게 이해된다. 데이비드 생어 기자는 글도 좋지만, 조리 있는 말솜씨로 큰 틀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 뛰어나기 때문에 좋은 도움이 된다. 그의 인터뷰를 번역, 편집해서 설명을 덧붙였다.
이 글은 유료 회원에게만 공개됩니다.
테크와 사회, 문화를 보는 새로운 시각을 찾아냅니다.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