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여행하는 다른 나라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하는 것 중 하나가 카페에 놔둔 폰, 지갑, 노트북 컴퓨터가 도둑맞지 않고 안전하게 주인을 기다린다는 사실이다. 한국은 공공장소가 안전한 나라 중 하나다. 물론 "한국에서도 자전거는 도난이 잦다"거나 "여성들은 아직도 밤길이 무섭다"는 반론도 많지만, 선진국이라고 하는 나라 중에서도 여성이 밤에 혼자 길거리를 다닐 수 있는 사회는 많지 않다. 위험한 사회들은 원래 위험했을까, 아니면 과거에는 안전했다가 위험해졌을까?

사회마다 다른 역사를 거치며 지금의 상황에 도달했을 것이니 그 질문에는 하나의 답이 존재하지 않을 거다. 과거에는 안전했다가 위험해진 도시도 있고, 위험했다가 범죄율이 떨어진 도시도 있다. 미국 미시건주 디트로이트의 경우, 과거 자동차 공업의 중심지로 부흥했다가 공장이 떠난 후 최악의 범죄도시라는 오명이 붙었지만, 근래 들어서는 다시 상황이 좋아지고 있다. 미국 사회 전반으로 보면 1970년대부터 1990년대 초까지가 범죄율이 높았던 시기(미국의 실제 연쇄살인범의 이야기는 대개 이 시기에 집중되어 있다)이고, 그 이후로는 꾸준히 떨어진다.

지금은 상상도 못 하겠지만, 미국에서도 엄마가 아기를 태운 유모차를 상점 밖에 세워두고 간단한 쇼핑을 하던 시기가 있었다고 한다. 그때는 어떻게 가능했고, 지금은 왜 불가능할까? "사회가 변했기 때문"이라는 말은 무의미하지만 정확한 답이다. 사회 구성원들의 생각과 행동 방식이 변하면 규범도 바뀐다. 1970년대만 해도 한국이나 미국이나 아이들을 "방목"했다. 아이들은 학교에서 돌아오면 가방을 집에 던져두고 밖에 나가 놀았고, 부모는 아이들이 어디에서 뭘 하고 있는지 몰랐다. 그저 저녁 시간이 되면 배가 고파서 집에 돌아올 거라고 생각했고, 대부분의 아이들은 그런 기대대로 집에 돌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