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트웨인이 했다고 전해지는 말 중에 "History doesn’t repeat itself, but it often rhymes(역사는 반복하지 않지만, 운율은 종종 맞는다)”라는 게 있다. 재치 있는 말인데 기원을 알 수 없으면 일단 마크 트웨인이 했다고 믿는 미국인들의 습관을 고려하면 반드시 그가 한 말이라고 장담할 수는 없다. 그런데 근래 들어 이 말을 꽤 자주 접하게 되는 건 21세기의 인류가 20세기의 실수를 반복하고 있다는 불안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아서가 아닐까?

하지만 그 덕분에 20세기 역사를 읽으면서 가졌던 궁금증이 풀리기도 한다. 가령 내게는 히틀러가 군복을 입고 참석해서 나치의 프로파간다가 되었던 1936년의 베를린 올림픽이 수수께끼 같았다. 히틀러가 독일의 총리가 된 건 1933년이고, 그 직후부터 유대인들에 대한 적극적인 차별이 시작되었다. 유대인들은 국가 기관과 대학교에 취직할 수 없게 되었고, 유대계가 소유한 상점에 대한 보이코트가 일어났고, 유대계 작가들의 책을 공개적으로 불살랐고, 동유럽 출신 유대인들의 시민권을 박탈한 것이 모두 히틀러가 총리가 된 첫해에 일어난 일이다. 악명높은 게슈타포(Gestapo, 국가비밀경찰)도 그해에 만들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