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6개월의 워싱턴 특파원 생활을 마치고 서울에 복귀했다. 평소 신선한 시각과 관점을 담은 페이스북 글을 통해 큰 도움을 받았던 박상현 님으로부터 특파원 시절의 취재기를 오터레터에 싣고 싶다는 제안을 받고 잠시 고민에 빠졌다. 레거시 미디어 기자가 외부 기고를 하는 게 흔한 일은 아니지만 미국 사회를 이해하는데도 도움을 받았던 분의 제안이었던 만큼, 작은 보답 차원에서라도 몇 가지 취재 사례를 정리하게 됐다. 마침 관련 내용을 책으로 쓰고 있는 중이었는데, 그 내용 가운데 일부이기도 하다. 이 글은 취재 무용담이라기보다는 미국의 심장부 워싱턴에서, 어떤 방식으로 현장 취재를 했는지 복기한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코로나를 거치면서 취재를 하는 방식에도 혁명적인 변화가 있었다. 특파원을 꿈꾸는 후배 기자들이나 미래 언론인 지망생, 국제 뉴스에 관심 있는 분들이 워싱턴 현장 분위기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으로 글을 싣는다.

미군의 아프간 철군 과정은 바이든 대통령에게는 큰 오점을 남긴 사건이었다. 공항을 빠져나가려는 수송기에 사람들이 매달렸다가 떨어져 숨지는 참혹한 장면이 그대로 전 세계에 방송됐다. 베트남전 패배를 떠올리게 하는 장면에 미국인들은 자존심에 큰 상처를 입었다. 탈레반은 미지의 집단이었지만, 그 대변인 수하일 샤힌(Suhail Shaheen)은 외신들에게는 탈레반의 의중을 들어볼 수 있는 창구로 통했다. (그는 탈레반 정부가 지명한 유엔 주재 대사이지만, 실제 부임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 이미 BBC, 알자지라, CNN, ABC, NBC, CBS 등은 물론 탈레반에 더 적대적인 Fox News에도 직접 출연해 탈레반의 입장을 설명한 바 있었다. 사건 초창기였던 8월 17일, BBC의 아프간 출신 여성 앵커 얄다 하킴(Yalda Hakim)에게 전화를 걸어 탈레반 입장을 설명했는데, 앵커가 난데없이 걸려온 전화를 받고 깜짝 놀라 생방송 중에 실제 통화를 연결해 라이브 방송을 긴박하게 진행한 바 있다.

탈레반의 대변인 수하일 샤힌 (출처: 위키피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