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의 글에서 이야기했던 세 명의 후보 중 (FBI 국장 후보 캐시 파텔을 제외한) 두 사람은 상원의 인준을 통과하지 못한다고 해도 트럼프에게는 특별히 나쁜 일이 아니다. 트럼프가 받은 FBI 조사에 대한 보복을 포함해 트럼프의 명령을 이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파텔과 달리, 털시 개버드와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는 민주당을 나와 트럼프가 대통령이 되는 데 도움을 준 것에 대한 보답, 혹은 거래의 성격으로 고위직을 약속한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공화당 상원의원들 중에서 이탈 표가 발생해 이들이 인준되지 못할 경우, 트럼프는 항상 그래 왔던 것처럼 자기의 어젠다를 막는 구세력의 방해라고 공격할 핑계가 하나 더 생길 뿐이다. 공개 지지에 대한 보답은 지명으로 충분하다.

하지만 미국의 정치 제도를 바꾸려는 트럼프가 가장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인물은 의회의 인준을 거치지도 않은 일론 머스크다. 잘 알려진 것처럼, 머스크는 대선 기간 후반부에 트럼프의 열렬한 지지자로 변신해 트럼프의 취임과 함께 정부효율부(Department of Government Efficiency, DOGE)라는 신설 정부 기관을 이끌게 되었다. 정부효율부는 이름에서 풍기는 것과 달리 연방법에 근거한 기관이 아니다. 공식 정부 기관으로서의 부서를 만들기 위해서는 의회의 승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트럼프는 대통령의 행정명령을 통해 임시 조직의 형태로 정부효율부를 만들고, 머스크에게 "특수 공무원(special government employee)"의 자격으로 일할 수 있게 했다.

세계 최고의 부자이면서 테슬라, 스페이스X 등의 크고 중요한 사업체를 운영해야 하는 머스크가 (게임을 좋아하는 그는 "내가 리그오브레전드를 하면 우주 프로그램에 지장이 생긴다"고 한 적이 있다) 왜 아까운 시간을 할애해서 임시 공무원이 되기로 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