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월, 뉴욕타임즈는 미국 정부가 NSO의 페가수스를 비롯한 스파이웨어를 구매한 사실을 폭로하는 기사를 냈다. 사람들의 폰에 몰래 들어가 기록을 들여다볼 수 있고, 녹음과 촬영까지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정부가 사용하겠다는 건 심각한 문제였고, 미국 의회는 그해 봄에 청문회를 열어 이를 추궁했다. FBI의 디렉터는 스파이웨어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구매했을 뿐, 그걸 사용해 수사에 사용하지 않았다고 증언했다.

로넌 패로우에 따르면 NSO는 미국의 각 지역 경찰을 상대로 페가수스와 비슷한 스파이웨어 버전에 대한 판촉 활동을 벌였다. 한국과 달리, 미국에서는 FBI 등 연방기관을 제외하면 경찰은 각 주와 도시에 소속되어 있다. 따라서 경찰이 사용할 수 있는—가령 테이저바디캠같은—첨단 무기나 기술이 개발되면, 기업들은 각 주와 도시의 경찰에 광고하고 판매 계약을 체결한다. (이와 관련해 오터레터에서 2021년에 발행한 '호안 톤 탯'은 꼭 한번 읽어보시길 권한다.)

호안 톤 탯 ① 낯선 스타트업
처음 들어보는 스타트업이 만든 앱 하나가 수년 동안 미궁에 빠진 범죄 사건들을 줄줄이 해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