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사람들이 주변의 사람들을 챙기다가 가난을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는 것은 연구로도 증명되었다. 이를 밝힌 최초의 연구는 캐롤 스택(Carol Stack)의 책 'All Our Kin (우리의 모든 친족)'이다. '흑인 커뮤니티의 생존 전략'이라는 부제를 가진 이 책은 가난한 사람들이 생존을 위해 의존하는 인간관계 네트워크를 추적한다. 이들은 돈과 자녀 돌보기는 물론, 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물건들도 네트워크 안에 있는 사람들과 공유하는데, 이게 오히려 계층 상승에 방해가 된다는 사실이 목격되었다. 누군가 수익이 생기면 그걸 나눠 갖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운 좋게 큰 소득이 생겼을 경우 인간관계를 잘라버리거나, 아니면 골고루 나눠서 궁극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를 줄 수 없는 작은 소득으로 만들어 버리거나, 둘 중 하나의 선택을 해야 하는 거다.

하지만 우연한 행운(lucky breaks)과 진짜 운(real luck)은 다르다. 후자의 경우 너무나 흔해서 존재하는지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다. 가령 스타트업을 하는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는 "부트스트랩(bootstrap, 구두 뒤에 붙은 고리)"이라는 표현을 생각해 보자. 외부 투자자의 도움 없이 자신의 힘, 자기가 가진 돈으로 일단 사업을 시작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원래 표현은 "Lift yourself up by your bootstraps (부트스트랩으로 스스로를 들어 올린다)"이다.

물론, 이건 물리학적으로 불가능한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