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코트킨(Stephen Kotkin) 교수는 프린스턴 대학교와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러시아를 연구해 온 역사학자다. 그의 아버지 집안은 한때 러시아 제국이었고, 지금은 벨라루스에 속한 비쳅스크(화가 마르크 샤갈의 그림에 자주 등장해서 유명한 '비텝스크'가 이곳이다)에서 미국으로 이민했다. 박사 과정에서 합스부르크 왕가와 프랑스 역사를 연구할 생각이었지만,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역사학자 미셸 푸코(Michel Foucault)를 만난 후 그의 설득으로 스탈린 연구로 방향을 바꿨다고 전해진다. (주제와 무관한 얘기지만, 지난달 샌프란시스코 아시아 미술관의 관장에 선임된 미술사학자 이소영 박사가 그의 아내다.)

내가 코트킨의 이름을 알게 된 것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후다. 뉴요커의 편집장 데이비드 렘닉(David Remnick)은 워싱턴포스트의 특파원으로 러시아에 머물던 30년 전부터 지금까지 코트킨과 교류하고 있고, 우크라이나 침공 소식을 듣자마자 제일 먼저 연락한 사람이 코트킨이었다고 한다. 렘닉은 푸틴과 트럼프에 아주 비판적인 견해를 갖고 있지만, 코트킨은 렘닉과는 조금 다른 시각으로 러시아와 미국을 바라본다. 물론 코트킨도 푸틴과 트럼프에 비판적이지만, 렘닉이 이상주의적인데 반해 코트킨은 상당히 현실주의적이다. 그리고 렘닉이 미국 민주주의의 현재 상황에 비관적이라면, 코트킨은—장기적으로, 그리고 렘닉에 비해 상대적으로—낙관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

스티븐 코트킨(왼쪽)과 데이비드 렘닉
이미지 출처: The New Yorker, SZ-Magaz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