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시언 그레인지의 아버지 세실(Cecil)은 1950년대 런던에서 레코드와 가전제품을 파는 일을 했다. 음악을 좋아해서 비틀즈의 '헤이 주드(Hey Jude)' 같은 노래를 흥얼거리는 모습이 루시언이 아버지에 관해 가진 첫 기억이다. 아버지뿐 아니라, 형 나이절(Nigel)도 음악을 좋아해서 음반 일을 했고 시네이드 오코너(Sinéad O'Connor), 워터보이즈(Wterboys) 같은 뮤지션들의 음반을 녹음했다. 십 대의 루시언을 대중음악의 세계로 끌어들인 사람이 나이절이다.

그는 17살이 되던 해에 학교를 떠났다. 음반 업계에서 일할 기회가 주어졌는데 굳이 대학에 가야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했다. 어머니는 불같이 화를 냈지만, 14살 때 학교를 그만두었던 아버지는 루시언의 결정에 개의치 않았다. (하지만 오랜 세월이 흘러 루시언의 아들 엘리엇이 대학에 가지 않겠다고 하자, 루시언은 헛소리하지 말라며 아들을 대학에 가게 했다. 대학을 졸업한 엘리엇은 음반 업계에서 자기만의 레이블을 운영하고 있고, 인기 가수 라이오널 리치의 딸 소피아 리치와 결혼했다.)

그렇게 음반 업계의 바닥에서 시작한 루시언 그레인지는 퍼블리싱(publishing)과 레이블(label)로 구분되는 음반 업계의 전반을 모두 경험하며 차근차근 성장했고, 1982년에는 RCA 레코드의 퍼블리싱을 이끌며 유리드믹스(Eurythmics) 같은 유명한 뮤지션과의 계약을 따냈다. 그는 공원에서 워크맨으로 신인의 음악을 들으며 마음에 들면 계약금을 들고 가서 계약을 따내는 일이 그렇게 좋았다고 한다. 그렇게 작곡가, 작사가와 함께 일하는 것이야말로 창작 과정을 가장 가까이에서 볼 수 있는 경험이었기 때문이다.

루시언 그레인지는 운도 좋았다. 그가 일을 시작한 때는 음반 업계가 한창 잘나가던 시절이었기 때문이다. 그레인지는 그때 "씬(scene)"이 가진 힘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씬'이란 음악의 하위문화가 패션, 예술, 미디어, 정치와 만나서 주류 문화를 바꾸게 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그레인지는 정규 음악 교육도 받지 않았고, 비싼 악기와 스튜디오도 없는 힙합 아티스트들이 샘플러(sampler)와 드럼 머신을 사용하는 것을 목격했다. 그는 펑크의 뒤를 이어 등장한 뉴웨이브(New Wave) 그룹들을 보면서 그런 씬이 얼마나 쉽게 등장하고 쉽게 사라지는지도 알게 되었다. 스트리밍 업체가 나타나서 LP, CD가 사라지고 음악이 모두 클라우드에 올라가는 것을 봐도 놀라지 않게 된 건 그런 경험들 때문이다.

그가 일한 후부터 음반 업계는 끊임없이 파괴와 혁신의 연속이었기 때문이다.

1980년대 뉴웨이브를 대표하던 듀란듀란 (이미지 출처: Wikipedia)

1980대 초가 되면 창업자가 운영하던 독립 레이블들이 큰 성공을 거두면서 월스트리트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기 시작한다. 그리고 레이블의 합병이 시작된다. 그렇게 해서 비용을 절감하고 위험도 분산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그레인지는 그렇게 여러 레이블을 거느리게 된 거대 음반사 중 하나인 폴리그램에 합류한다. 그때가 1986년이었다. 네덜란드와 독일에서 출발한 폴리그램은 미국과 영국으로 확장 중이었다.

그가 엘튼 존(Elton John) 같은 유명 뮤지션들의 음원을 사들이기 시작한 게 이때였다. 이제 막 펼쳐지기 시작한 CD 시대에는 예전의 인기곡을 재포장(repackaging)해서 팔 수 있을 것이고, 그렇게 되면 저작권이 중요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기 때문이다. 그 예상대로 나오게 된 히트작이 1992년의 '아바 골드' 앨범이다. 그리고 이듬해에는 폴리그램이 거느린 레이블 중 하나인 폴리도어(Polydor)에 가서 (레이블 쪽 업무의 핵심인) 새로운 아티스트를 발굴하는 작업에 집중한다. 폴리도어는 1970년대에는 비지스(Bee Gees) 같은 뮤지션들로 히트했지만 점점 힘을 잃고 있는 레이블이었다. 이곳에서 그레인지는 더큐어(The Cure), 테이크댓(Take That), 카디건즈(Cardigans) 같은 새로운 아티스트를 발굴하며 활약했다.

그러다가 그의 개인사에 큰 비극이 닥치게 되었다. 그의 아내(Samantha Berg)가 첫 아이인 엘리엇을 낳다가 태아의 양수가 산모의 혈관을 막는 양수색전증으로 혼수상태(coma)에 빠진 것이다. 아이의 아빠가 되었다는 기쁨은 아내를 잃은 슬픔에 가려졌고 (아내는 혼수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14년을 병상에서 지내다가 2007년에 세상을 떠난다) 아내 없이 갓난아이를 혼자 키워야 하게 된 그는 인생을 보는 눈이 달라졌다. "한 사람에게 일어날 수 있는 가장 끔찍한 일"을 겪게 된 그는 아이를 키우는 게 최우선 순위가 되었고, "더 용감해졌다." 그런 비극을 겪으면서 생각이 바뀌었고, 직업에서의 어려움과 위기를 완전히 다른, 예전에는 갖지 않았을 마음 자세(mindset)를 갖고 대하게 되었다는 게 그의 말이다.

음반 시장은 격변기에 있었다. CD 판매가 크게 늘면서 전에 없는 호황기를 지나고 있었고, 캐나다의 (위스키 산업으로 성장한) 시그램이 MCA를 인수해서 유니버설 뮤직 그룹(UMG)으로 이름을 바꿨고, 루시언 그레인지가 속한 폴리그램을 인수한 것이다. 그리고 2000년에 프랑스의 미디어 기업 비벤디(Vivendi)가 시그램을 인수했고, 이렇게 정신없이 재편되는 과정에서 그레인지는 빠르게 승진할 수 있었다. (그는 2001년에 UMG의 영국 총괄, 2005년에는 UMG 글로벌 총괄을 거쳐, 2011년에 UMG의 CEO가 되었다.)

하지만 루시언 그레인지가 음반계의 리더로 올라서던 2000년대 초는 음반 업계가 멸종의 위치에 처한 시점이었다. 1999년 인터넷 파일 공유 서비스인 냅스터(Napster)가 등장한 이후로 15년 동안 전체 매출이 40% 감소했고, 수천 명이 직장을 잃었으니, 멸종의 위기라는 말이 과장이 아니었다.

냅스터로 음반 시장을 위기에 빠트렸던 션 파커(오른쪽)는 저커버그(왼쪽)를 도와 초기 페이스북을 성장시켰다. 파커가 페이스북의 이사회 의장이었던 2005년 사진 (이미지 출처: The New York Times)

그레인지가 UMG 영국 총괄이었던 2004년, 그는 회사 임원진을 회의실에 모으고 방의 불을 껐다고 한다. 컴컴한 방에 앉은 임원들에게 "파일 공유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우리는 이렇게 될 거요"라고 말하고 방을 나갔다. 그런데 (아직 업계가 냅스터의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던) 2009년에 그레인지를 만난 한 유럽계 음반사 임원은 그레인지가 놀라울 정도로 자신감에 차 있었다고 한다. "우리 회사는 직원을 줄줄이 내보내고 있다고 했는데, 루시언은 상황을 아주 긍정적으로 바라 보고 있었습니다. 음반 업계의 미래도 밝게 보고 있었죠. 두려움이라는 걸 모르는 사람 같았습니다."

영국에서 긴급 임원 회의를 한 후 그레인지는 무슨 일을 하고 있었을까? 2005년에 UMG 인터내셔널 총괄이 된 그는 2007년에 노키아와 음반 업계 초유의 계약을 체결한다. 노키아 폰을 사면 1년 동안 UMG의 음악을 얼마든지 들을 수 있게 하는 것이었다. 그렇게 모든 음악을 들을 수 있게 하는 액세스 모델(access model)은 지금은 흔하게 볼 수 있지만 비즈니스 모델이지만, 당시만 해도 어떤 음반사도 엄두를 내지 못하던 것이었다. 아이폰이 그 해에 등장했으니 노키아로서는 서비스 차별화의 필요성이 있었겠지만, 음반 단위로 한 번에 파는 비즈니스 모델에만 익숙해 있던 음반 업계로서는 곳간 열쇠를 넘겨주는 것 같은 두려운 일이었다.

그레인지는 단발성으로 노키아와 그런 계약을 맺은 게 아니었다. (그랬다면 노키아가 폰 사업을 접으면서 UMG의 디지털 진출 계획도 끝이 났을 거다.) 같은 해 그는 스웨덴의 다니엘 에크(Daniel Ek)와도 협상을 진행하고 있었다. 에크는 자신이 설립한 지 1년밖에 되지 않은 음악 서비스를 키우기 위해 음반 회사의 협조가 필요했다.

그 서비스가 스포티파이(Spotify)였다.

루시언 그레인지와 다니엘 에크 (이미지 출처: RouteNote, RouteNote)

다니엘 에크는 루시언 그레인지가 자기가 만난 음반 업계 사람들과 달랐다고 한다. "업계의 많은 사람이 자기 직업이 사라질 것을 걱정하고 있었지만, 루시언은 자기가 직업을 잃어도 음악을 살리겠다는 태도였습니다." 에크는 광고를 듣는 대신 무료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모델로 가입자를 많이 모으고 그 후에 이들을 점차로 매월 돈을 내는 구독자로 바꿔가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었다. 이는 마케팅에서 유명한 깔때기(funnel) 모델에 기반한 것으로 지금은 프리미엄(freemium=free+premium) 모델이라는 표현으로 알려져 있다.

그레인지와 에크의 관계를 보여주는 일화가 있다. 몇 해 전, UMG의 음반 라이선스를 받아 사용하던 스포티파이가 계약을 갱신해야 하는 시점이 되었는데 두 기업은 견해를 좁히지 못한 채 대치하고 있었다. 최근 UMG가 틱톡과 계약 갱신을 앞두고 합의 도출에 실패해서 자사의 음악을 플랫폼에서 빼버린 것과 똑같은 상황에 처한 것이다. 다니엘 에크는 계약 만료를 앞두고 협상하느라 큰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는데, 그때가 마침 아내가 첫 아이를 출산하던 시점이었다. 그런 에크에게 그레인지가 전화를 했다.
에크는 그레인지가 계약 만료까지 24시간 남았다고 소리를 지를 거라 생각하고 받았는데 뜻밖의 말을 들었다. 그는 에크가 곧 아빠가 될 거라는 얘기를 방금 들었다면서, 자기도 첫 아이를 낳을 때 일과 가정을 병행하느라 힘들었다고 말하고는 "현재 계약 조건을 두 달 연장할 테니, 아이가 태어난 후에 협상을 계속하자"고 제안했다. UMG의 입장에서는 그런 양보를 할 이유가 전혀 없었지만, 첫 아이를 낳으며 아내를 잃은 그레인지는 에크를 배려해 준 것이다. 두 달 후 두 회사는 무사히 협상을 완료할 수 있었다.

몇 푼 되지 않는 광고비를 받으면서 모든 음악을 들을 수 있게 풀어준다는 건 음반 업계가 받아들이기 힘든 조건이었다. 유명한 뉴욕타임즈의 사례를 생각해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지만 (이에 관해서는 '테크기업이 된 신문사'에서 자세히 다뤘다) 깔때기 모델이 성공해서 구독료를 충분히 받을 수 있다는 보장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들이 '음악=공짜'라는 인식을 갖게 된다면 음반 업계의 생존은 어렵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당시 워너뮤직에서는 스포티파이에 라이선스를 허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그레인지는 달랐다. 그도 음악을 공짜로 제공하는 것에는 반대했(고, 지금도 이 문제는 논쟁거리로 남아있)지만, 다니엘 에크가 가진 스포티파이의 장기적인 비전에는 동의했다. 그가 경쟁자들 사이에서도 업계의 리더로 인정받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음반 업계의 비즈니스 모델을 위협하는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나올 때 그레인지는 그 기술을 이해할 수 있을 때까지 완전히 막으려고 하지도, 그렇다고 모든 권리를 넘겨주지도 않는다. 이런 극단적인 결정은 업계에 해가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루시언 그레인지가 음악계에 침투하는 AI 테크놀로지에 접근하는 방법도 바로 그거다.


'루시언 그레인지의 자신감 ③'에서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