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월즈에 관한 이야기는 두 편으로 끝내려고 계획했었지만, 두 글을 마친 후에 월즈에 관한 옛날 기사 한 편을 읽게 되었다. 오래된 기사가 갑자기 "발굴"되어 온라인에 퍼지게 된 건 월즈가 미국의 부통령 후보가 되었기 때문이다. 앞의 글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선출직 고위 공직에 출마하면 누구나 과거의 기록이 드러나는 건 피할 수 없는 일이고, 유권자들에게—대개의 경우에는—좋은 일이다. 그런데 뉴욕타임즈가 2008년에 발행한 이 글이 눈길을 끈 건, 정치면이 아니라 교육면에 실린 기사이기 때문이다.

2008년은 팀 월즈가 연방 하원의원의 첫 임기 2년을 마치고 재선을 준비하던 시점이다. (월즈는 공화당이 우세한 보수적인 지역구에서 6선 의원이었고, 그 후에 주지사가 되었다.) 2주 전까지만 해도 미네소타주 밖에서는 아무도 월즈 주지사를 몰랐기 때문에, 2008년에 뉴욕타임즈가 무명의 초선 하원의원에 관심을 가진 건 좀 특이한 일이다. 이 기사를 쓴 새뮤얼 프리드먼(Samuel G. Freedman)은 뉴욕타임즈에 교육과 종교에 관한 기사와 칼럼을 쓰는 사람이고, 지금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저널리즘 교수로도 일하고 있다.

이 글은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먼저 훌륭한 기자와 언론사는 당장 화제가 되는 인물이나 사건만 쫓아가는 게 아니라, 작아 보여도 중요한 인물, 사건을 살펴본다는 것. 그 결과, 이렇게 미래를 예측하거나, 훗날 사용할 중요한 자료를 만들게 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