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어넌 음모론자들이 제프리 엡스틴이 이스라엘의 정보 자산이었다고 생각하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그와 친하게 지내던 사람들은 트럼프, 빌 클린턴, 앤드루 왕자 외에도 많았다. 빌 게이츠를 비롯해 미국의 첨단 테크 분야에서 일하던 사람들이 대표적이다. 엡스틴 사건이 크게 불거졌을 때, 유명한 MIT 미디어랩(Media Lab)이 엡스틴에게서 기부금을 받은 게 드러나 디렉터였던 조이 이토(Joi Ito, 우리나라에도 책이 번역되어 인기를 끌었다)가 사과문을 쓰고, 사임한 일도 있었다.

당시 미디어랩이 비판을 받은 이유는 단순히 엡스틴에게서 기부금을 받았기 때문이 아니라, 그가 2008년에 성범죄자로 형을 선고 받은 후, 즉 그가 성범죄자 판결을 받은 후에도 계속해서 기부금을 받았고, 그 사실을 의도적으로 숨기려고 했기 때문이다. 이런 은폐(cover-up) 시도가 문제를 더 키우는 일이 흔하다. 일단 그런 시도로 불신을 사게 되면 사람들은 밝혀진 것보다 문제가 더 클 것으로 짐작하기 때문이다. 물론 그들의 짐작과 달리 밝혀진 게 전부인 경우도 흔하지만, 은폐 시도는 음모론을 키우는 온상이다. 추락한 UFO의 잔해를 보관하고 있다는 음모론으로 유명한 네바다주에 있는 51구역(Area 51)이 대표적인 예다. 2013년, 미국 정부가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1950년대 미국 정부가 이곳에서 무기를 개발, 시험하는 과정에서 이를 숨기기 위해 거짓 해명을 하는 과정에서 UFO 잔해 음모론이 탄생했다고 밝혀졌다.
51구역으로 알려진 네바다주의 무기 실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