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며칠 동안 오픈AI에서 벌어진 일의 전모를 파악하는데는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이사회가 CEO를 몰아내기로 한 배경에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AI의 안전 문제와 사업의 성공을 두고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진 양측의 싸움이 있었다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샘 얼트먼을 해고했던 이사들은 인류 차원에서 AI의 위험성을 고민했다고 한다. 이건 분명 중요한 문제이지만 거시적인 관점에서 보는 시각이다. 미시적, 개인적 차원에서는 어떨까?

불과 1년 전만 해도 피부에 와 닿지 않았던 AI의 존재를 느끼게 해준 챗GPT는 그 성능이 사람들이 생각한 것보다 뛰어났고, 등장과 함께 세상을 빠르게 바꾸고 있다. AI로 인한 실직은 가능성의 영역이 아니라,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이다. 그리고 그런 위협을 가장 크게 느끼고 있는 사람들이 바로 프로그래머다. 아래의 글에서도 이야기하지만, 일반인이 텍스트나 이미지 생성에 챗GPT를 써보고 느끼는 것과 코딩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들이 느끼는 것은 다르다. 챗GPT는 상당한 경력을 가진 프로그래머가 하루 종일 씨름해도 해결 할까말까 하는 문제를 10초 만에 풀어낸다. 몇 년 후에도 프로그래머라는 직업이 남아있을까 걱정이 된다는 얘기는 그래서 나온다.

이 글은 테크 기업에서 프로그래머로 일하며 매체에 꾸준히 글을 기고해 온 제임스 소머스(James Somers)가 쓴 것으로, 직업으로서의 프로그래밍이 사양길로 접어드는 것을 보면서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솔직한 심정을 이야기한다. 기술적인 이야기이지만 일반인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할 뿐 아니라, 프로그래머라는 사람들이 하는 일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무엇보다 직업인으로서의 프로그래머가 AI의 위협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잘 설명한다. 원문은 여기에서 읽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