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시작된 전쟁의 종료 시점에 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었다. 발발 직후에는 많은 나라들이—여기에는 러시아도 포함된다—우크라이나의 항전이 일주일을 넘기기 힘들 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전쟁이 길어지면서 러시아의 전쟁 수행 능력에 대한 의심이 커졌고, 여기에 미국이 주도하는 서방 세계의 러시아 제재가 본격화하면서 러시아가 어느 단계에서 전쟁을 중단할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 나오기 시작했다. 러시아가 가진 무기와 탄약, 그리고 무엇보다 병력이 무한하지 않기 때문에 전쟁을 마냥 끌고 갈 수는 없다는 전망이었다.

하지만 그런 전망은 강대국이 이길 수 없는 전쟁을 얼마나 지속할 수 있는지를 간과한 것이다. (미국은 베트남에서 20년, 소련은 아프가니스탄에서 10년에 가까운 전쟁을 했다.) 긴 전쟁을 끝내는 것은 탄약의 부족이 아니라, 국내외 여론의 변화와 그로 인한 정치적 압력이다. 러시아는 미국과 함께 식량과 에너지를 자급자족할 수 있는 나라이고, 핵무기를 보유한 나라이기 때문에 국가의 패망은 상상하기 힘들지만, 정권의 생존은 다른 얘기다. 주기적으로 선거를 치러야 하는 민주주의 국가는 물론이지만, 독재국가도 여론의 악화를 무시할 수 없다.

블라디미르 푸틴이 북한으로부터 약 1만 명의 병력을 지원받은 건 러시아에 싸울 수 있는 젊은 남성이 남아있지 않아서가 아니라, 푸틴이 총징집령 발동을 꺼리기 때문이다. 푸틴은 직업군인 병력으로만 이 전쟁을 시작했지만, 발발 3주년이 가까워 오는 현재 약 60만 명의 사상자를 낸 상황에서 병력의 부족분을 어디선가는 데려와 채워야 한다. 그가 북한의 도움을 받기로 한 것은 (아마도 기술 이전 등의) 대가를 치르더라도 총징집령만은 피해야 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