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행정부 때 이란과 맺은 핵협정이 얼마나 중요한 것이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란의 현대사를 잠깐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란은 20세기 중반 이후로 미국에 좋은 감정을 가질 수 없었던 나라다. 두 나라 사이의 악감정은 한국전쟁이 끝나던 1953년에 시작된다. 지금도 크게 다르지 않지만, 당시 미국은 민주주의를 수출한다는 간판을 걸고 세계 각국의 정치에 관여해서 미국에 불리한 정권을 무너뜨리고, 친미 정권을 세우는 일에 아주 적극적이었다. 그런 미국의 노력을 이끈 가장 큰 동기는 경제적 이익이었고, 이는 미국 내 대기업이 정부와 정치인들을 상대로 로비를 펼치는 방식으로 외교 정책에 반영되었다.
20세기 중반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경제적 동기는 물론 석유였다. 하지만 20세기 중반은 서구의 식민지가 쇠퇴하면서 식민지들이 독립하거나, 새로운 국가를 세우던 시기였고, 많은 나라들 서구의 경제적 착취를 벗어나려고 애쓰던 때다. 이란은 지금도 세계 4위의 산유국이지만, 그때도 대표적인 산유국이었고, 당시 세계 최대였던 아바단 정유공장도 이란에 있었다.
영국은 이란에서 1909년에 앵글로-이란 석유회사(AIOC, 앵글로-페르시안 석유회사라고도 하고, 훗날 지금의 BP가 된다)를 설립하면서 석유 생산을 본격화했다. 이란의 석유를 장악하려는 영국은 이란의 정치에 깊이 관여하면서 이란의 왕조를 교체하는 데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했다. 20세기 중반까지 이란은 석유 생산에서 발생하는 수익의 90%를 영국에 뺏기는 불리한 조건의 계약 아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