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나라에 비해 느리게 진행되는 미국의 대선에도 '바람'은 존재한다. 그 바람이 반드시 돌풍일 필요도 없다. 중요한 건 그 바람의 '방향'이다. 카멀라 해리스는 두 달 전만 해도 그저 인기도, 존재감도 없는 부통령에 불과했다. 나이 많은 바이든이 재선에 도전하겠다고 하고 끝까지 버텼던 것도 해리스가 트럼프를 상대로 승산이 없다는, 실제 조사 결과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무관심했던 유권자들이 갑자기 해리스에 열광하고 있는 거다. 게다가 가히 돌풍이라고 할 만큼 강한 바람이다. (한 기자는 이런 변화를 결혼 상대를 찾는 사람의 생각 변화에 비유했다. 해리스가 인기 없었던 이유는 민주당 지지자들이 바이든 외의 다른 후보를 상상할 수 없었기 때문인데, 바이든이 더 이상 후보가 아니게 되자 갑자기 해리스가 매력적인 "결혼 상대" 즉, 국민이 선택할 수 있는 대통령감으로 보이기 시작했다는 거다.)

유세장의 카멀라 해리스 (이미지 출처: NC Newsline)

해리스의 인기—혹은 민주당 대선 후보에 대한 인기—가 급상승한 이유를 분석한 사람들은 바이든이 끌어내지 못하고 있던 두 그룹, 30세 이하의 유권자와 흑인 유권자들을 가리킨다. 한국에서도 20대 남성이 보수화한다는 얘기가 많지만, 미국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있어서 지난 7월에 나온 퓨 리서치 조사 결과에 따르면 30대 이하의 유권자들이 공화당 쪽으로 기울고 있었다. 그런데 카멀라 해리스가 후보로 나온 직후 이들의 여론이 바뀌면서 해리스가 거의 20퍼센트 포인트 차이로 트럼프에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