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줌(Zoom), 아마존 등의 기업들과 함께 팬데믹의 최대 수혜기업이 된 회사가 펠로톤(Peloton)이다. 펠로톤은 집에서 운동을 하려는 사람들에게 홈트레이닝과 비디오 스트리밍을 결합한 운동기구와 서비스를 완벽하게 결합해 "피트니스계의 애플"이라는 말까지 나왔다. (농담이 아니라, 워낙 잘 어울리는 기업들이기 때문에 애플이 펠로톤을 사야 한다는 주장도 많다). 인기는 이미 팬데믹 이전부터 시작되었고, 이제는 중산층 가정집 부터 백악관까지 펠로톤이 없으면 안된다는 말이 나올 만큼 장사도 잘 해왔다.
그랬던 펠로톤에게 큰 악재가 터졌다. 초창기부터 실내 자전거를 통한 스피닝 클래스에 집중해온 펠로톤이 기구의 범위를 넓히면서 트레드밀(러닝머신)을 추가했는데, 이 제품에 문제가 있었다. 원래 트레드밀은 원래 사용 중 사고가 잦은, 생각보다 위험한 제품이고, 그래서 펠로톤은 사고사례가 보도되기 시작했을 때 대수롭지 않게 취급했다. 하지만 아이가 사망하는 사고를 비롯해 70여 건의 사고가 보도되면서 언론의 집중적인 조명을 받았고, 그 과정에서 서비스가 엉망이라거나, 사용자 데이터를 제대로 보호하지 못한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펠로톤에 대한 이미지가 급속하게 추락하기 시작했다.
상황이 생각보다 심각하다는 사실을 깨달은 펠로톤은 판매한 12만 5천 대의 트레드밀을 전량 리콜하기로 결정했다.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면 최고 책임자가 인정을 하고, 문제가 아무리 작아도 과잉교정(overcorrection)을 해야 PR 재난을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유료 회원에게만 공개됩니다.
테크와 사회, 문화를 보는 새로운 시각을 찾아냅니다.
Happily Never After
통신기업은 해외진출이 사실상 불가능한 업종이다. 따라서 기업의 가치를 계속 높이기 위해서는 새로운 업종으로 진출해야 하는데, 미디어가 가장 해볼 만하다고 생각, 아니 착각을 한다. AT&T의 불행한 결혼 이야기가 그렇게 시작되었다.
브랜드의 몰락
비즈니스 환경이 변했다고 반드시 하루 아침에 문을 닫아야 하는 건 아니다. 하지만 토크쇼 '엘렌'과 골든글로브처럼 브랜드가 갑자기 무너질 때는 내부적인 문제를 지적할 수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