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야톨라 호메이니의 카세트테이프로 본격화된 혁명의 결과, 이란에서는 왕정이 끝났고 팔라비 왕가는 이란에서 탈출한다. 1979년 1월 16일의 일이다. 이란 사람들은 이제 호메이니의 귀국을 기다리고 있었고, 호메이니와 함께 프랑스에서 혁명을 주도한 일행은 테헤란으로 향하는 에어프랑스 전세기에 올랐다. 비행기에는 기자들도 함께 탑승했다.

그들이 탄 비행기가 이란 영공에 들어서자, 미국 ABC 방송국의 피터 제닝스 기자가 호메이니에게 소감을 물었다. 무려 14년 만의 귀국이었고, 그가 바란대로 팔라비 왕가를 이란에서 몰아냈으니, 소감을 묻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피터 제닝스는 호메이니를 꾸준히 취재 중이었다. (이미지 출처: PBS

피터 제닝스의 질문은 이랬다. "Would you be so kind as to tell us how you feel about being back in Iran? (이란으로 되돌아오시니 어떤 감정이 드는지 말씀해 주시겠습니까?)" 항상 그랬듯 호메이니 옆에서 통역을 담당하던 사람이 이 질문을 이란어로 전달했다. 그런데 호메이니가 한 말은 "히치(هیچ چی)"였다. 이란어의 '히치'를 영어로 옮기면 'nothing'이다.

당시 녹음을 들어보면 통역을 담당하던 좌파 지식인이 놀라는 게 들린다. 그는 자기가 잘못 들은 건 아닌가 하는 목소리로 호메이니에게 "히치?"하고 되묻는다. 호메이니는 그에게 분명하게 이렇게 말한다. "히치 아사시 나다람(나는 아무런 느낌이 없다)." 이 말을 미국 기자에게 있는 그대로 통역했다면 "I don't feel a thing" "I feel nothing"이라고 말해야 했다.

하지만 누가 이런 감격적인 순간에 "아무 느낌이 없다"고 대답할까? 사실 호메이니의 평소 말투로 비추어 본 그의 이미지–못  배운 시골 노인–대로라면 그럴 수 있겠지만, 그를 둘러싼 지식인들이 차근차근 쌓아왔던 호메이니의 지적인 이미지, 현자의 이미지와는 전혀 다르다. 잠깐 고민하던 통역사는 제닝스 기자에게 거짓말을 한다.

"He doesn't make any comments (대답하지 않으시겠답니다)."

이란으로 귀국하는 비행기 안의 호메이니 (이미지 출처: BBC

이런 대답에 피터 제닝스는 "행복하시다거나, 흥분되신다거나 하는 것도 없고요?"라고 다시 물었지만, 통역사는 "대답하지 않으시겠답니다"라는 말을 반복한다. 호메이니가 그냥 "히치"라고만 대답했다면 억지로라도 그렇게 해석할 수 있겠지만, 그는 "아무런 느낌이 없다"고 재차 확인까지 해준 상황에서 그렇게 통역하는 건 옳지 않다. 호메이니가 왜 그런 대답을 했는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그 대답은 그가 어떤 사람인지 보여주는 대목이다. 호메이니는 그냥 정해진 대로 권력의 자리에 들어서는 사람일 뿐이다.

지식인들은 이때 뭔가 잘못되었다는 느낌을 받았을 거다. 하지만 되돌리기에는 이미 늦었다. 호메이니는 이란으로 도착해 최고 지도자의 자리에 올라서게 되고, 민주주의를 도입하기는 커녕, 그가 녹음테이프로 주장하던 것처럼 이란을 종교가 사회를 지배하는 중세 국가로 되돌려놓게 된다.

테헤란 공항에 도착한 호메이니 (이미지 출처: BBC)

호메이니를 이란의 최고 지도자로 만들어 준 모흐센 사제가라는 어떻게 되었을까? 그는 혁명 이후 이란에 남아서 정치에 참여했다. 하지만 개혁 노선을 주장하는 사제가라는 호메이니의 후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와 충돌했고, 급기야 2003년에 체포되었다. 몇 달 후 풀려난 그는 병 치료를 이유로 영국으로 떠났고, 현재 미국에 살면서 이란의 민주화를 위해 싸우고 있다. 그가 처음 만났던 1978년의 호메이니와 비슷한 처지라고 할까?

사제가라는 그 당시 호메이니를 선택한 것을 후회할까? 그는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다"고 말한다. 지금에 와서 그때를 돌아보면 혁명적 이데올로기와 종교를 한 데 묶은 건 실수였다는 것을 알지만, 당시에는 그게 잘못될 거라고 생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는 거다. "당시 23살이었던 나만 그랬던 게 아니다. 서구 사상가들도 그게 문제가 될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나는 그저 이란 사람들이 만드는 거대한 운동의 일부였을 뿐이다."

1978년 12월, 팔라비 정권에 반대하는 시위대가 호메이니의 초상을 들고 있는 모습 (이미지 출처: Radio Farda)

하지만 어떻게 될지 모르면서 위험한 일을 저지른 것에 대해서도?

"불행하게도 당시 나는 미래에 대해서, 호메이니가 만들려는 체제에 대해서 생각해 보지 않았다. 우리는 그저 지구상에 천국을 만들 수 있을 거로 생각했고, 우리의 생각은 틀렸다. 지금 와서 할 수 있는 말이지만 그런 생각들은 모두 틀렸다."


기사는 여기에서 끝난다. 그런데 그런 사제가라와 동료 혁명가들이 미래가 어떻게 펼쳐질지 모르는 상황에서 호메이니를 내세우기로 결정했다는 얘기는 최근에 들은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인터뷰를 연상시킨다.

놀란이 영화 '오펜하이머'를 제작하기로 결심하게 된 것은 오펜하이머가 맨해튼 프로젝트를 총지휘한 레슬리 그로브스 중장과 나눴다는 대화가 인상적이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로브스 중장은 엔리코 페르미로부터 원자탄의 폭발이 지구 대기에 연쇄반응을 일으켜 지구가 멸망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를 듣고 오펜하이머에게 정말이냐고 묻는데, 이 질문에 오펜하이머는 그럴 가능성은 아주 적지만, 0은 아니라고 대답한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은 지구 전체의 운명이 달린 일인데 그런 실험을 감행했다는 사실이 충격적이었고, 그의 전작 '테넷(Tenet)'의 대사에도 그 내용을 넣었단다.

오펜하이머 박사와 그로브스 중장 (이미지 출처: Department of Defense)

"카세트테이프로 일어난 혁명"이라는 것도 낯설게 느껴질지 몰라도 역사적으로 비슷한 사례가 없는 게 아니다. 중동의 현대사를 연구하는 에릭 슈위(Eric Schewe)는 이란의 카세트 혁명을 설명한 글에서 새로운 소통 수단이 등장해 종교적 메시지를 퍼뜨리고, 그걸 믿는 사람들이 커뮤니티를 형성하게 되는 일은 이란 혁명 이전에도, 이후에도 있었다고 말한다. 요하네스 구텐베르크의 인쇄 기술이 등장한 후에 종교 개혁이 일어난 거나, 19세기 중반 미국에 값싼 신문("페니 프레스")이 등장하면서 '2차 대각성 운동'이라는 기독교 신앙 부흥이 일어난 일도 이란의 혁명과 다르지 않다. 1970년대에 혁명적인 사상을 전파하려고 마음 먹은 사람들이 카세트테이프를 사용한 것은 어쩌면–비록 기술결정론처럼 들릴 수도 있지만–자연스런 결정이었을지 모른다.

또한 압제적인 왕정을 끝내려던 지식인들의 다급함이 호메이니와 같은 과격 종교주의자와 손을 잡게 만들었다면, 그 역시 불가피한 결정이었을 수 있다. 게다가 이는 이란의 사정만도 아니었다. 호메이니가 테헤란으로 향하던 바로 그때, 미국에서는 빌리 그레이엄(Billy Graham)이라는 기독교 목사가 로널드 레이건(Ronald Reagan)이라는 공화당의 대통령 후보와 손을 잡고 그의 당선을 위해 미국 내 기독교인을 결집하고 있었다.

빌리 그레이엄 목사와 레이건 대통령 (이미지 출처: Billy Graham Evangelistic Association)

그리고 그렇게 레이건이 당선된 후로 미국의 정치인들, 특히 공화당 정치인들은 보수 기독교의 영향력에서 완전히 벗어난 적이 없다.

어쩌면 이란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특이하고 동떨어진 나라가 아닐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