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의 글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유발 하라리는 민주주의가 작동할 수 있는 조건으로 대화를 들었다. 대부분의 인류가 작은 마을, 부족에서 살았던 과거에는 민주주의가 오히려 어렵지 않았다고 설명한다. 마을 사람들이 한곳에 모여서 중요한 결정을 할 수 있을 규모였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게 우리가 '사피엔스'에서 본 것 같은 하라리 특유의 재해석이다. 그는 수렵채집 사회에서 농경사회로 바뀐 후에 인류의 수명이 길어지지 않았음을 들면서, 그런 변화로 개인의 삶이 더 나아졌다고 볼 수 없다고 했다. 그는 비슷한 논리를 대화, 혹은 정보 교환에 적용하고 있다. 그의 논리를 따라가 보자.

하라리는 소유권(ownership)을 예로 든다.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어느 마을에 사는 아무개가 한 필지의 땅을 갖고 있었다고 하자. 그런데 그걸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까? 원래는 그걸 증명할 필요가 없었다. 왜냐하면 온 마을 사람들이 그 땅은 아무개의 것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의 땅에 소를 몰고 가거나, 거기에서 자란 열매를 먹으면 안 된다는 생각을 공유하고 있었다. 즉, 최초의 소유권은 공동체의 합의 이상이 아니었다. 따라서 그 땅을 다른 사람에게 판다는 건 공동체가 알고 합의해야 하는 것을 의미했다. 따라서 주인이 그 땅을 다른 마을 사람에게 파는 것에 마을 사람들이 동의하지 않으면 팔 수 없다.

또 다른 문제도 있다. 그 마을에서 아주 멀리 떨어진 곳에 사는 왕은 그 땅이 누구의 것인지 일일이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거기에 세금을 부과할 방법이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한 것이 점토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