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캐든은 트럼프와 스캐든이 동의하는 이슈에 1억 달러에 해당하는 법률 서비스를 프로 보노로 제공하고, 앞으로는 변호사를 채용하거나 승진시킬 때 "능력주의"를 원칙으로 해서 DEI 정책을 적용하지 않고, 법대를 졸업한 사람들에게 펠로우십을 줄 때는 "보수주의 이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치적 견해를 반영한다는 등의 조건에 양측이 합의했다는 내용이었다.

로펌의 경영진은 무슨 생각을 했을까? 뉴욕타임즈가 취재한 바에 따르면 폴 와이스 같은 로펌에서는 경영진의 대다수가 트럼프와 타협을 통해 존망의 위기를 벗어나자는 의견이었다. 트럼프와의 타협이 좋아서가 아니라, 수천 명의 직원을 거느린 기업의 입장에서는 직원과 직원 가족들의 생계를 지켜주는 게 중요하기 때문이다. 로펌의 경영진 입장에서는 회사를 살리는 것이 자신들의 임무라고 느꼈을 거다.

무엇보다 회사의 생존에 비해 그들이 포기하는 것은 크지 않다고 생각한 것 같다. 트럼프와 타협을 한 로펌들에서는 경영진이 하나같이 변호사와 직원들에게 "트럼프 행정부와 타협했다고 해서 우리 회사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고 한다. 시프가 다니던 스캐든에서도 전체 직원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이 합의는 우리를 바꾸지 않는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