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자기 마음에 들지 않는 로펌들을 무너뜨리기 위해 한 일은 뉴욕타임즈의 마이크 슈미트 기자가 쉽게 설명했다.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퍼킨스 쿠이는 민주당이 자주 이용하기는 하지만, 사실 이 로펌의 주 수익원은 미국의 연방 정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미국의 크고 작은 기업들이 연방 정부가 발주하는 사업을 하던 중에, 혹은 관련 법규와 관련해 문제가 생기면 이들을 대변하는 게 퍼킨스 쿠이의 주 수익원이다.

당연한 얘기지만,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연방 정부의 공무원들을 만나야 한다. 그런데 트럼프는 퍼킨스 쿠이 소속 변호사들이 연방 정부 건물에 들어가거나 공무원들을 만나는 것을 금지하는 행정 명령을 내렸다. 한 마디로 퍼킨스 쿠이가 사업을 할 수 없게 막아버린 것이다. 하지만 그게 전부가 아니었다. 행정 명령에는 연방 정부가 발주한 사업을 하는 기업체들이 퍼킨스 쿠이를 변호사로 고용할 경우 연방 정부의 일을 하지 못한다는 조항까지 들어있다. 그 기업은 잘못한 게 없어도 문제의 로펌에 돈을 준다면 연좌제로 불이익을 당하게 된다.

이는 북한이나 이란, 러시아와 같은 국가들이 테러, 전쟁을 벌이거나 핵확산방지조약 등을 위반했을 때 미국 정부가 이들 적성 국가를 상대로 사용하는 방법, 즉 '블랙리스트'와 다르지 않다. 만약 어느 나라가 비밀리에 러시아의 원유를 수입하거나, 이란이나 북한에 물건을 수출하다가 적발될 경우 대미 무역 제재 등의 조치가 취해진다. 그런데 이 방법을 적국도 아닌, 자국의 대형 로펌을 상대로 사용하는 근거가 뭘까? 2016년 대선에서 퍼킨스 쿠이가 고용한 정보업체에서 트럼프와 러시아의 관계를 조사한 것은 "국가에 위협이 되는" 사안이라는 게 트럼프 측의 주장이다. 따라서 로펌을 적성 국가처럼 취급하는 극단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