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전쟁이 돌아왔다. 트럼프는 취임 직후인 올해 초, 사상 최대의 관세 전쟁을 시작했다. 하지만 이에 놀란 월스트리트에서 주가가 폭락하고, 상황이 급속도로 나빠지자 트럼프는 관세 부과를 유예하면서 이 문제를 미뤄두고 있었다. 한동안 언론(과 트럼프)의 관심이 이스라엘과 이란, 우크라이나 등의 문제로 쏠려있다가 트럼프가 한국과 일본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포함한 일련의 관세 정책 발표를 하는 것을 보면서 관세 전쟁의 두 번째 막이 올랐음을 알게 되었다.

그사이 트럼프는 타코(TACO, Trump Always Chickens Out), 즉 '트럼프는 언제나 겁을 먹고 물러선다'는 별명을 얻었고, 그의 관세 부과는 협상을 위한 패에 불과할 뿐이라는 인식이 퍼졌다. 트럼프로서는 기분 나쁠 거다. 지난달 미국이 이란을 불시에 폭격한 것을 봐도 알겠지만, 트럼프는 상대방이 자기가 어떻게 행동할지 짐작하지 못하게 하는 데 큰 가치를 둔다. 그래야 협상력이 올라간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런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트럼프는 뭔가를 보여주려 할 가능성이 크다. 설령 그러지 않는다고 해도 대미 수출이 경제에 중요한 교역국들로서는 트럼프의 위협을 진지하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외국의 무역 장벽'(Foreign Trade Barriers)이라고 적힌 문서를 들고 있는 트럼프. 하지만 트럼프는 한국처럼 미국과의 무역에 장벽이 사라진 나라에도 높은 관세를 예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