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에 세상을 떠난 이탈리아의 기호학자 움베르토 에코(Umberto Eco)는 훌륭한 글을 많이 남겼지만, 그가 했던 이야기 중에서도 내가 좋아하는 건 1999년 말, 그러니까 전 세계가 21세기로 넘어가는 시점에서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했던 말이다. 에코는 지난 밀레니엄(1000~1999)에 대해 다른 대담자들과는 완전히 다른 시각으로, 아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정확한 문구는 찾을 수 없지만, 각 대륙에 흩어져 살던 인류가 서로를 발견하고, 이해하고, 함께 살기 시작한 1천 년이라는 게 그의 평가였다.

그 평가가 인상적이었던 건, 당시 언론은 지난 한 해, 지난 10년, 아니 지난 100년을 평가할 때 항상 사용하던 진부한 문구, "다사다난(多事多難, 일도 많고 탈도 많은)"을 사용했고, 지난 1천 년을 대규모 전쟁과 폭력으로 가득했던 시기로 묘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그것도 사실관계에서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그전에는 다른 대륙에 인간이 산다는 것조차 모르고 있었고, 살아도 그들은 괴물이라고 생각했다면, 지난 1천 년은 괴물에서 인간 비슷한 존재로, 인간이지만 싫은 적으로, 그리고 비로소 동등한 인간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던 첫 시기다.

나는 그 인터뷰를 읽고 움베르토 에코가 같은 시대를 다르게 인식할 수 있었던 이유를 오래 생각했고, 내가 내린 결론은 그가 잡는 기준점, 혹은 시간의 틀이 다르다는 것이었다. 현재 일어나는 일에 대한 평가는 그 일이 일어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기준으로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오늘 소개하는 미국 작가 레베카 솔닛(Rebecca Solnit, 리베카 솔닛)의 글이 바로 그 얘기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