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삼성증권은 '2026년, 글로벌 1위 업체가 바뀐다'라는 제목의 흥미로운 보고서를 내놨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현재 글로벌 완성차 업체의 판매량 순위는 토요타, 폭스바겐(그룹), 현대-기아가 각각 1~3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3년 후인 2026년이면 현대-기아가 1위를 하고 토요타와 폭스바겐이 그 뒤를 따르게 된다. 흥미로운 내용이 많기 때문에 한 번 읽어보기를 권하지만, 이런 순위 변동을 예상하는 이유는 단순히 현대-기아차가 앞으로 자동차를 더 잘 팔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만이 아니다. 삼성증권은 토요타와 폭스바겐의 자동차 판매량이 지금보다 많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한다. 토요타는 올해 1,010만 대에서 2026년에는 890만대로, 폭스바겐은 850만 대에서 770만 대로 줄어든다는 것이 이 보고서의 예측이다.

(출처: 삼성증권 보고서)

토요타와 폭스바겐은 모두 시장 점유율이 하락할 것으로 보이지만 그 이유는 약간 다르다. 토요타의 경우는 내연기관(ICE) 차량의 상품성도 하락하고 있지만, 전기차 전환이 한국과 미국의 경쟁업체들에 비해 늦은 것이 중요한 문제로 작용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토요타가 휴대폰의 강자였다가 스마트폰으로 전환이 늦어 몰락하게 된 노키아와 비슷한 운명이 될 수도 있다는 얘기도 한다.) 그렇다면 전기차 판매를 빠르게 늘려가고 있는 폭스바겐은 왜 순위가 하락하게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