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 중국이 희토류 생산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했을 때만 해도 그 규모는 세계 최대의 희토류 광산인 미국의 마운틴 패스에 미치지 못했다. 하지만 1980년대 중국의 지도자 덩샤오핑은 "중동에는 석유가 있고, 중국에는 희토류가 있다"며 이를 적극 개발해야 한다고 독려했고, 그의 뒤를 이은 장쩌민도 희토류의 이점을 경제적 우위로 바꿔야 한다며, 덩샤오핑의 기조를 이어갔다.

중국의 희토류 생산이 늘어나고 있던 시점에 희토류에 대한 미국의 관심은 오히려 줄어들기 시작했고, 1990년대에 이르면 희토류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던 에임즈 연구소의 학자들이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하던 희토류 관련 강의도 중단되었다. '이상한 이상무'에서 인용한 애플의 CEO 팀 쿡(Tim Cook)의 말—"미국에서 (최첨단) 장비를 사용할 능력이 되는 엔지니어를 다 모은다고 해도 방 하나를 채울 수 없을 겁니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그런 사람들로 축구장 몇 개를 채울 수 있어요"—과 비슷한 일이 희토류와 관련해서도 일어나고 있었다.

몰리코프의 CEO 마크 스미스(Mark Smith)는 2010년 미국 의회에 출석해서 자사의 과학자 17명이 중국에서 희토류를 연구하는 과학자 600명을 상대로 경쟁하고 있다고 했다. "미국에 있는 어느 대학이든 희토류를 다뤄본 학생을 찾을 수 없다"는 게 그의 증언이었다. 그뿐 아니라, 이미 그때 몰리코프는 시장성 때문에 마운틴 패스의 희토류 광산의 운영을 중단한 상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