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의 글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바지와 재킷에 충분한 주머니를 가질 수 있었던 남자들과 달리 여자들은 중세 시절과 크게 다르지 않게 끈이 달린 주머니를 치마 속에 매달고 다녔다. 하지만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상황은 더 나빠진다. 18세기 중후반에 회화와 건축에서 일어난 신고전주의(Neoclassicism)의 영향이 여성의 패션에 나타나기 시작한 거다. 1800년을 전후로 여자 옷은 마치 고대 그리스 신전의 조각에서 볼 법한 모습으로 바뀌어, 마치 기둥처럼 위에서 아래로 똑바로 떨어지는 얇은 천으로 만든 드레스가 유행했다.

1800년 전후의 여성 패션을 보여주는 그림들. 오른쪽 그림에서는 아이가 간식을 사달라고 하자 "엄마는 주머니를 달고 다니지 않는다며 몇 번을 말했니?"라고 말한다. 'Fashionable Convenience,' 즉, 패션이 돈을 쓰지 않기 위한 편리한 핑계라는 제목의 풍자다. (이미지 출처: TESSA, Pockets)

하지만 위의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은 모양이 나오기 위해서는 과거와 달리 속치마를 많이 입을 수 없었고, 그렇게 해서 옷의 부피가 줄어들어 몸에 붙게 되자 치마 안쪽에 주머니를 매달 만한 공간이 사라지게 되었다. 현대 여성 핸드백의 효시라고 불리는 레티큘(reticule)이 등장한 게 바로 이 시점이다. 대개는 벨벳 등의 천으로 만들어진 레티큘은 프랑스어 réticule에서 온 이름이고, 어원이 되는 라틴어 reticulum은 작은 망, 그물(net)을 의미했다. (실제로 초창기 레티큘은 고대 로마의 여성들이 들고 다녔던 그물처럼 생긴 지갑의 형태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