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의 CEO 샘 얼트먼(Sam Altman)이 해고되고, 일주일도 되지 않아 복귀한 일은 보는 사람에 따라서는 어설픈 집단이 벌인 촌극에 불과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은 없다. 이건 인공지능의 발전과 인류의 미래라는 큰 그림에서 아주 중요하고 심각한 사건이었고, 많은 사람들이 그 의미를 분석하는 글을 썼다. 가령 뉴욕타임즈의 케빈 루스(Kevin Roose)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이번 사건을 AI를 사업의 기회로 생각하는 자본가와 AI의 위험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고론자의 대결에서 자본가가 승리한 것으로 결론을 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힘을 발휘해서 이사회의 결정을 뒤집은 것은 물론, 자본주의 예찬론자에 가까운 래리 서머스(Larry Summers)가 이사로 들어온 것을 봐도 이제 오픈AI는 완전히 영리 위주의 기업으로 방향을 틀었다는 게 이들의 생각이다.

경제지들의 생각은 다르다. 파이낸셜타임즈의 베네딕트 에반스(Benedict Evans)는 AI 경고론자들을 "파멸론자(doomers)"라고 부르며 이들이 정치하는 방법도 모른 채 어설픈 시도를 했다고 했고 (원문은 여기에 있지만, 커피팟에서 번역한 글이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에서는 더 나아가서 얼트먼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승리라고 생각하는 일반적인 견해와 달리 얼트먼은 돌아올 때 기대했던 것보다 약한 권한을 갖게 되었고, 마이크로소프트는 130억 달러를 투자하고도 이사회에 한 명도 넣지 못했기 때문에 그저 얼트만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한마디로 얼트먼을 해고했던 세력이 여전히 힘을 쓰고 있다는 거다.

하지만 가장 흥미로운 분석은 에즈라 클라인(Ezra Klein)의 글에서 볼 수 있다. "오픈AI 소동이 남긴 불안한 교훈(The Unsettling Lesson of the OpenAI Mess)"이라는 제목의 이 글은 뉴욕타임즈의 오피니언란에 등장했는데, 기본적으로 케빈 루스의 분석과 같은 관점이지만 거기에 아주 흥미로운 비유를 더해 이해를 돕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