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네소타(Minnesota)주의 연방 상원의원인 에이미 클로버샤(Amy Klobuchar)는 "미네소타주에서는 엄마가 아이에게 '열심히 노력하면 나중에 부통령도 될 수 있단다'라고 말해 준다"는 농담을 종종 한다. 왜 하필 부통령일까? 미네소타주에서는 한 번도 대통령을 배출한 적이 없다. 물론 길지 않은 미국 역사에서 대통령은 대부분 동부 주에서 배출했기 때문에 유별난 일은 아니다. 특이한 건 1965년 이후로 미네소타주에서 부통령은 두 명이나 나왔다는 사실이다. 만약 카멀라 해리스와 팀 월즈가 이번 대선에서 승리하면 세 번째가 된다. 미네소타는 어떤 주일까?
미국인들이 미국의 "중심(heartland)"이라고 부르는 중서부(Midwest)에서도 한 가운데 위치한 주가 미네소타다. 미국을 건국한 사람들이 영국에서 온 이민자들이기 때문에 그 후손들이 많이 사는 곳이 "중심"이라고 생각할 것 같지만, 중서부는 독일계 이민자들의 후손이 많이 산다. (영국계의 후손은 남북전쟁 때 남부 주, 그러니까 현재 남동부 지역에 많다). 미네소타주도 다르지 않아서 독일계가 가장 많지만, 두 번째로 많은 사람들이 좀 특이하게도 노르웨이/스칸디나비아계 이민자들이다.
사족이지만, 노르웨이계는 미네소타주의 바로 서쪽에 있는 노스다코타(North Dakota, ND)에도 많이 산다. 영화 '파고(Fargo)'나 같은 제목의 드라마 시리즈에서 자주 듣게 되는 특이한 억양("Yah," “Aw Jeez")의 기원도 노르웨이어를 비롯한 북유럽에 있다고 한다.
이 글은 유료 회원에게만 공개됩니다.
테크와 사회, 문화를 보는 새로운 시각을 찾아냅니다.
이전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