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 대해 여러가지 관점에서 신뢰할 만한 코멘트를 내는 전문가를 찾기 어렵다는 점은 예나 지금이나 크게 변하지 않았습니다. 한국과의 복잡한 관계나 양국 정치권에 의한 프로파간다 또한 객관적 관점을 견지하기 어렵게 하는 요인이기도 하죠.
늦깎이 유학과 사회생활을 통해 조금씩 일본의 모습을 알아가고 있는 제 입장에서는 윙필드 헤이즈 기자의 글이 조금 더 신빙성 있다고 판단됩니다. 한국이나 중국의 속도는 분명 비정상적인 부분과 심각한 부작용이 있는 만큼, 일본은 상대적으로 느리게 보이긴 하지만 분명 변화하고 있죠. 아, 물론 이건 절대 안변할 것 같다 싶은 영역도 있고요.
통계적 접근은 잘 못하지만, 일본의 출생율과 고령화율이 세계적으로 주목의 대상이 된 이유는 50~70년대의 인구증가와 도시에의 집중이 당시로는 어느 나라도 상상하기 어려울 만큼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기 때문이라고 들었습니다. 일 인당 평균 주택 면적의 상승은 놀랍네요. 대부분의 한국인(외국인) 거주자들이 이를 실감하기 어려운 것은, 거주환경이 극단화되고 있고 이를 서로 잘 모르기 때문일 거라고 짐작합니다. 그랑제꼴 근처에도 못가본 모 씨가 프랑스의 교육환경이 평등하고 루즈하다고 착각하는 것 처럼요. 거주비용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말해지는 판단 기준선이 한국과 여러 모로 다르기도 하고요. (월세로 지불하는 고정비 적정선이 연봉의 30% 선이라고 인식)
개인적인 환경과 밀접한 주제라 이번 글은 특히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언제나처럼 좋은 글 감사해요.
일본에 대해 여러가지 관점에서 신뢰할 만한 코멘트를 내는 전문가를 찾기 어렵다는 점은 예나 지금이나 크게 변하지 않았습니다. 한국과의 복잡한 관계나 양국 정치권에 의한 프로파간다 또한 객관적 관점을 견지하기 어렵게 하는 요인이기도 하죠.
늦깎이 유학과 사회생활을 통해 조금씩 일본의 모습을 알아가고 있는 제 입장에서는 윙필드 헤이즈 기자의 글이 조금 더 신빙성 있다고 판단됩니다. 한국이나 중국의 속도는 분명 비정상적인 부분과 심각한 부작용이 있는 만큼, 일본은 상대적으로 느리게 보이긴 하지만 분명 변화하고 있죠. 아, 물론 이건 절대 안변할 것 같다 싶은 영역도 있고요.
통계적 접근은 잘 못하지만, 일본의 출생율과 고령화율이 세계적으로 주목의 대상이 된 이유는 50~70년대의 인구증가와 도시에의 집중이 당시로는 어느 나라도 상상하기 어려울 만큼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기 때문이라고 들었습니다. 일 인당 평균 주택 면적의 상승은 놀랍네요. 대부분의 한국인(외국인) 거주자들이 이를 실감하기 어려운 것은, 거주환경이 극단화되고 있고 이를 서로 잘 모르기 때문일 거라고 짐작합니다. 그랑제꼴 근처에도 못가본 모 씨가 프랑스의 교육환경이 평등하고 루즈하다고 착각하는 것 처럼요. 거주비용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말해지는 판단 기준선이 한국과 여러 모로 다르기도 하고요. (월세로 지불하는 고정비 적정선이 연봉의 30% 선이라고 인식)
개인적인 환경과 밀접한 주제라 이번 글은 특히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언제나처럼 좋은 글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