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글러스 러쉬코프에 따르면 테크 갑부들이 가진 사고 방식의 뿌리는 16세기 영국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21세기에 들어 오면서 훨씬 더 큰 파급력(혹은 파괴력)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그는 실증주의 과학철학(empirical science)에서 뿌리를 발견했다. 16~17세기 영국의 철학자이자, 과학자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은 경험론이라고도 불리는 실증주의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는데, 그가 영국왕립학회에서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고 전해진다:

"자연의 머리카락을 움켜쥐고 붙잡아서 정복하고 제압해야 한다(Nature must be taken by the forelock...lay hold of her and capture her...conquer and subdue her....)" 전통적으로 영어에서 자연은 여성("Mother Nature")으로 묘사되는데, 베이컨이 사용한 forelock은 앞머리다. 왜 하필 앞머리일까? 어떤 모습이 연상되는가? 여성을 땅에 눕히고 강간하는 남성이다. 베이컨은 의도적으로 성폭력의 모티브를 사용한 것이다. 베이컨에 따르면 과학은 남성이 여성을 제압하는 방법으로 자연을 정복해야 한다. 왜 하필 이런 식으로 묘사했을까?

과학자들(=남성)에게 자연은 알기 힘든 존재, 그래서 두려운 존재이기 때문이다. 어떤 해에는 가뭄이 들고, 어떤 해에는 홍수가 나는 "변덕스러운" 자연을 보면서 (남성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여성과 닮았다는 사고 방식이 있었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자연을 여성에 비유한 것이고, 그들에게 환경을 측정하고, 동물과 식물을 채집해서 연구하는 것은 그런 자연/여성을 제압하고, 이해하고, 인간/남성의 의도에 순응하도록 길들이는 행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