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칩 부족을 보도하는 한 기자는 "소프트웨어가 세상을 먹어 치운다"는 마크 앤드리슨의 말을 인용해서 이렇게 말했다: "소프트웨어가 세상을 먹어 치우고 있다면, 그 이빨은 (컴퓨터) 칩이다(If software is eating the world, chips are the teeth)." 컴퓨터와 스마트폰처럼 애초부터 칩이 있어야만 기능할 수 있는 제품을 넘어, 과거에는 컴퓨터 없이 작동했던 많은 것들이 칩을 탑재하면 기능이 향상되고 있다. 따라서 세상은 점점 더 많은 컴퓨터 칩을 요구하고 있다.
문제는 그런 칩을 만들 수 있는 반도체 제조업체가 대형화하면서 그 수가 급격히 줄어들었다는 사실이다. 애플을 비롯해서 많은 기업들이 반도체를 직접 설계한다고 하지만, 반도체를 설계하는 것과 만들어내는 것, 더 나아가 경쟁력 있는 가격에 만들어내는 건 완전히 다른 얘기다. 패브리스(fabless: 공장 없는)라고 불리는, 설계만 할 수 있는 기업들은 오히려 늘었지만 제조할 수 있는 기업은 극소수다. 설계와 제조를 모두 할 수 있는 (이런 기업을 IDM: 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라 부른다) 인텔이나 AMD 같은 회사들도 갈수록 대형 제조 전문 업체에 생산을 위탁하고 있다.
경쟁력있는 극소수의 대형 업체들만 생존이 허용되는 이 반도체 제조 경쟁에서 현재 살아남은 기업은 약 5개 정도이지만, 그나마 시장 점유율이 10%를 넘는 기업은 대만의 TSMC(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와 삼성전자뿐이다. 하지만 시장 점유율 55%에 다가가고 있는 TSMC는 흔히 '파운드리(foundry)'라 부르는 반도체 제조업의 원톱이다. "세계가 대만 하나에 의존하고 있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생산이 한 곳에 집중되면 공장은 커지고 규모의 경제가 만들어진다. 그만큼 효율적으로 되고, 제품의 단가는 떨어지고, 새로운 플레이어의 진입은 힘들어진다. 반도체 제조업은 그렇게 변화해왔다.
이게 우리의 마지막일까
이번에 발표된 IPCC 보고서에 따르면 인류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고, 상황의 악화는 피할 수 없다. 하지만 지금이라도 손을 쓰지 않으면 더 끔찍한 결과를 경험하게 된다는 것이 IPCC의 호소다.
칩 부족과 회복탄력성 (1)
요즘 자동차에는 수천 개의 컴퓨터 칩이 들어간다. 하지만 자동차용 칩은 높은 사양의 최신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요즘처럼 밀려드는 주문을 감당할 수 없을 때는 제조업체에 그닥 매력적인 제품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