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선 글에서 소개한 뉴욕타임즈의 영상이 뛰어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엘리자베스 2세를 추모하는 것과 동시에 그의 업적을 아주 정확하게 설명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설명은 눈물이 그렁그렁한 눈으로 읽는 '사람'에 대한 찬사가 아니라, 그가 평생 추구해온 '역할'에 대한 설명이다. 그가 스스로 정의하고 수행했던 역할이 과연 바람직한 것이었느냐에 대해서는 이견의 여지가 있다. 이 영상은 그 여지를 남겨둔다. 하지만 그 역할에 동의하는 사람도, 동의하지 않는 사람도 엘리자베스 2세가 그 역할을 철저하게, 최선을 다해 수행했다는 사실은 인정하게 된다.

뉴욕타임즈가 말한 것처럼 여왕은 '미디어 퀸'이었다. 미디어에 비치는 이미지를 완벽하게 활용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가 그 작업을 통해 투사하려 했던 이미지는 엘리자베스라는 개인의 이미지가 아니라,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라는 직책이 대표하는 왕실, 즉 제도(institution, 기관)였다.

이를 잘 보여주는 예가 있다. 미국 여성인 메건 마클과 결혼한 해리 왕자가 왕족으로서의 의무에서 물러나 미국으로 건너가 일반인처럼 직업을 갖고 살려고 결심했을 때의 일이다. 이를 할머니인 엘리자베스 2세에게 전달하고 허락을 받으려고 여왕이 머무는 궁전으로 찾아갔다고 한다. 물론 사전에 알리고 일정을 잡은 방문이었다. 해리는 할머니를 만날 거라고 생각하고 갔는데 엘리자베스 2세는 할머니가 아닌 여왕으로 참석했고, 해리의 아버지인 찰스(현 국왕)를 포함해 모든 참석자가 보좌진을 대동하고 나타난 회담이었던 것이다. 이 자리에서 엘리자베스는 국왕으로서 일을 처리했고 해리가 원하던 가족 간의 딜이 아니라 여왕이 내리는 포고(edict)였다. 그 자리에서 해리는 왕족의 임무에서는 물러날(step back) 수 없고 내려가야(step down) 한다는 말을 들었다.

엘리자베스 2세는 엄연히 해리의 할머니다. 따라서 할머니가 아닌 여왕으로서 다르게 행동하는 것은 그냥 연기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엘리자베스 2세는 그런 역할의 중요성을 믿었다. 그게 '연기'라면 자신이 속한 왕실의 생명이 바로 그 '연기'에 달려있었기 때문이다.

(이미지 출처: BBC)

엘리자베스 2세가 몇 시간 전에 세상을 떠났다는 것을 온 세상이 짐작했어도 왕실이 공식 발표를 하기 전까지 어떤 언론사도 이를 추측해서 보도를 하지 않았던 것은, 그리고 그런 언론의 행동에 아무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던 것은 이런 전통과 규범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이를 평생토록 지켜온 여왕에 대한 예의였을 거다.

존 로버츠가 대법원을 잃은 날

그런 엘리자베스 2세의 서거야말로 세상에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몇 안 되는 20세기의 종말이다. 그가 20세기에 태어난 유명한 인물이어서가 아니라, 그가 추구해온–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인정한–역할이 이제 더 이상 세상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순전히 겉으로만 보이는 대외적인 이미지를 유지하는 것이 얼마나 허구적이고 기만적이냐고 비판할 수 있다. 그런 비판은 정당하다. 우리는 20세기의 많은 부정과 폭압이 바로 그런 이미지 조작을 통해 일어났고, 히틀러를 비롯해 많은 독재자들이 미디어를 활용해 자신의 정권을 유지한 것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그런 '이미지'는 우리가 20세기까지 지켜온 많은 것들을 가능하게 했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미국의 연방 대법원이다.

미국인들은 대체로 대법원의 권위를 인정해왔다. 민주주의 국가에서 선출되지 않은 권력, 그것도 죽거나 스스로 물러나기 전에는 누릴 수 있는 권력은 찾기 힘들다. 연방 대법원 판사들이 이런 민주적이지 않고 군주제에서나 볼 법한 힘을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는 이들이 민주당, 공화당으로 나뉘는 정파, 혹은 정치적인 견해를 갖지 않고 오로지 대법관이라는 자신의 정체성에 따라 판결을 내린다는 일종의 믿음 때문이다.

물론 미국 사회에서 대법원이 중요해지기 시작한 20세기에도 사람들은 이미 대법관도 역시 사람이며, 이들도 자신의 정치적 견해에 따라 판결한다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했다. 양당이 정권을 잡으면 자신들의 정견에 맞는 진보 판사, 보수 판사를 대법원에 넣기 위해 애쓴 사실을 모두가 알고 있다. 하지만 대법원 스스로 중립적이라는 일종의 신화를 유지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기 때문에 미국인들은 그 권위를 인정해준 것이다. 권력의 3부라고 하는 대통령(행정부), 의회(입법부), 법원(사법부) 중에서 대통령은 군의 통수권을, 의회는 예산을 쥐고 있지만 사법부는 오로지 판결을 내릴 뿐이기 때문이다. 그런 법원의 '권력'은 오로지 국민이 인정하는 정당성에서만 나온다. 이게 낯익은 상황처럼 들린다면 맞다. 입헌군주제의 군주가 처한 상황과 다르지 않다.

현재 연방 대법원장 존 로버츠(John Roberts)는 조지 W. 부시가 임명한 보수 대법관이다. 하지만 그런 보수 대법원장이 오바마 대통령 시절 미국을 깜짝 놀라게 하는 판결을 내렸다. 의회를 장악한 공화당이 오바마 행정부를 정치적으로 묶어버리기 위해 오바마가 심혈을 기울여 추진한 소위 '오바마 케어(Obama Care)'를 무산시키기 위해 대법원으로 가져가자 많은 사람들의 예상과 달리 진보 대법관들과 함께 오바마 케어 유지에 손을 들어줬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이후로도 비슷한 일이 여러 차례 있었다. 특히 공화당과 트럼프가 변칙적인 방법으로 보수 판사를 대법원에 밀어 넣으면서 대법원을 정치화하는 과정에서 로버츠 대법관은 거듭해서 진보 대법관들의 편을 들었다.

이를 두고 그의 정치적 견해가 바뀌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다. 그가 자신의 평소 견해와 다른 판결을 내린 이유는 그가 제도주의자(institutionalist)이기 때문이라는 게 가장 유력한 해석이다. 그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개별 판결이 아니라 연방 대법원이라는 제도/조직의 생존이다. 나쁘게 말하면 생존이지만, 큰 틀에서 보면 이는 사법부의 권위를 유지하는 것이고, 더 나아가 민주주의를 지탱하는 세 개의 기둥 중 하나를 온전하게 지켜 민주주의를 보호하려는 행동이다.

하지만 그의 노력은 지난 6월 24일에 끝났다. 뉴욕타임즈는 이날 "2022년 6월 24일은 존 로버츠 대법원장이 대법원을 잃은 날(June 24, 2022: The Day Chief Justice Roberts Lost His Court)"이라는 기사를 냈다. 트럼프가 밀어넣은 보수 대법관들이 너무 많아져서 로버츠가 더 이상 중간에서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할 수 없게 되었고, 이것이 분명해지자 보수 대법관들이 힘을 합쳐 '로 대 웨이드' 판결을 뒤집었기 때문이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가장 손쉬운 답은 도널드 트럼프다. 트럼프가 보수 대법관을 무려 세 명이나 몰아넣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제는 훨씬 더 깊은 곳에 있다. 전례를 무시하고, 대법원의 중립성, 권력의 공정성이라는 '신화'를 무너뜨린 트럼프는 20세기에는 당선되기 힘들었다. 이를 제도적으로 잘 설명한 책도 나와있지만, 그 핵심은 이제 사람들이 제도, 혹은 기관(institution)에 대한 신화를 믿지 않게 된 데 있다. 장애인을 비하하는 흉내를 내고, 여성들에게 성폭력을 행사한 걸 자랑하는 트럼프 같은 인물이 대통령에 당선된 배경에는 "권력자들은 다 똑같다"는 일종의 대중적 포기가 존재한다.

많은 사람들이 2001년 9/11 테러가 일어났을 때 비로소 20세기가 끝난 줄 알았다. 냉전이 끝난 이후에 새로운 갈등구조가 탄생하는 것 같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돌아보면 그건 20세기의 연장선 위에 있었다. 21세기가 가져온 진정한 변화는 테러리스트와 같은 외부 세력이 아니라, 사람들의 사고 변화였다. 정치인들의 권위, 제도의 중립성을 믿지 않고 모든 것이 거짓말이며, 연기라고 생각하게 된 변화 말이다.

엘리자베스 2세는 이런 21세기 사람들이 벗어나려고 애쓰는 과거다. 그의 모든 말과 행동은 도널드 트럼프나 알렉산드리아 오카시오 코르테스의 트윗처럼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그래서 누가 듣기에도 진심인(authentic) 언행이 아니었다. 전통과 전례를 따르고 세심하게 다듬어서 내어놓는 진부한 표현이었다. 하지만 이런 여왕의 언행은 제국이 무너지고 사회가 격변하는 지난 70년 동안 영국 사회가 무너지지 않게 중심에서 붙잡고 있는 힘이었다. 어느 기사의 제목처럼 엘리자베스 여왕은 "변하는 세상에서 유일하게 변하지 않는 상수 (The One Constant in an Inconstant World)"였다.

그런 의미에서 엘리자베스 2세는 가장 오래도록 버틴 20세기였다. 그의 존재는 이미 20세기에도 시대착오(anachronism)였지만, 앞서 소개한 영상 속 방송기자가 여왕의 마차를 묘사한 것처럼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시대착오"였다. 그랬던 여왕의 죽음과 함께 20세기가 끝났다.


엘리자베스가 대관식을 준비하던 당시 네 살짜리였던 큰 아들 찰스는 엄마가 책상에 앉아 왕관(2,868개의 다이아몬드와 루비가 박힌 무거운 공식 왕관)을 써보는 모습을 봤다. 엘리자베스는 자신을 보고 있는 찰스에게 왕관이 아주 무겁다면서 이 무게에 익숙해져야겠다고 말했다고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