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역사에서 예술의 창작은 대부분 남성들이 독차지했다. 흔히 예술가에게 영감을 주는 존재로 묘사되는 뮤즈(Muse)는 그리스 신화의 여신이고, 남성 화가, 예술가들은 자신의 인생에서 작품을 만들어 보여주고 싶은 여성을 뮤즈라 부르는 일이 흔했다. 그렇다고 여성 예술가가 없었다는 얘기는 아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회화사에서 여성이 초충도(草蟲圖)와 화조도(花鳥圖)를 그렸던 것처럼, 유럽의 미술사에서도 몇 안 되는 여성 화가는 예술가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주제를 그리지 못하는 경우가 흔했다.

간혹 그런 제약에서 벗어난 여성 예술가들이 있었지만, 또 다른 제약들이 그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궁극적으로 남성 중심 사회에서 여성이 받는 불이익의 한 부분이기도 했지만, 그런 어려움을 뚫고 자기 실력으로 예술가로 성공한 후에도 관객은 여성의 작품을 남성과는 다른 눈으로 해석하려 하고, 그걸 당연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최근 미국에서 개봉된 영화 '아메리칸 픽션'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흑인 작가들의 작품을 특정한 틀로 이해하려는 주류 백인사회의 태도도 이와 비슷하다.)

그렇다면 우리는 여성 예술가의 작품을 그의 여성성과 분리해야 이해해야 할까? 그렇지는 않다. 하지만 예술가의 여성성을 이해하면서도 "만든 사람이 여자니까" 어떻게 해석해야 한다는 이차원적인 이해를 극복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말하면 꽤 추상적이고 복잡하게 들릴 수 있지만, 아주 좋은 예가 있다.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Artemisia Gentileschi, 1593~1653)는 바로크 시대에 이름을 날린 뛰어난 여성 화가이지만, 사후에 잊혀졌다가 20세기에 들어 다시 큰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그런데 사람들은 그가 18세 때 성폭행을 당한 일을 통해 그의 작품 세계를 해석하곤 한다. 아래의 글은 2020년 런던에서 열린 전시회를 앞두고 나온 아르테미시아의 인생과 작품 세계에 관한 기사로, 이 화가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을 넘어 우리가 여성 예술가의 작품을 보고, 해석하는 방법을 쉽고 흥미롭게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