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들은 소비 심리가 위축되는 것을 두려워한다.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전 국민에게 1인당 15~40만 원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했고, 9월에는 2차로 10만 원을 추가로 지급하기로 한 것도, 필요할 때 돈을 과감하게 풀어야 소비가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경기도지사 시절에 직접 배웠기 때문이다. 이런 정책은 점점 보편화되고 있다.

팬데믹이 시작되었을 때 트럼프 행정부는 소비 경기 부양을 위해 국민 1인당 1,200 달러 (약 165만 원)를 지급했다. 선진국들은 그렇게 소비를 활성화하는 데 GDP의 10% 이상을 사용했고,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유럽에 에너지 위기가 닥쳤을 때 유럽 국가들이 이에 대응하는 데 사용한 액수가 GDP의 3%에 달한다.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이제 정치인들은 나쁜 뉴스가 들리면 돈을 푼다.

팬데믹 중에 시장에 2조 달러를 푸는 경제 부양 정책을 도입한 도널드 트럼프